법상스님의 목탁소리
법상스님의 목탁소리

상주 대원정사 일요법회(13:30), 부산 목탁소리 토요법회(13:30)

상주 대원정사 일요법회(13:30) 부산 목탁소리 토요법회(13:30) 자세히보기

전체 글 1286

지혜로운 삶을 위한 15가지 생활명상

아주 단순하게 생각해서 누구나 잘 살기 위해 세상을 살아간다. 또 누구나 삶의 목적은 잘 사는데 있다. 그러나 과연 어떻게 사는 것이 잘 사는 길인가. '이렇게 사는 것이 잘 사는 것이다'라는 정답이 있고 체크리스트가 있어서 매일같이 잠자리에 들기 전, 또 매 해를 보낼 때마다 그 표를 하나하나 내 삶과 대조해 보면서 체크해 볼 수 있다면 좋겠지만 우리 삶이라는 것이 그렇게 딱 정해진 것 만은 아니기에 그런 것이 있을리 만무하다. 그러나 조금 큰 틀에서 본다면 어떤 종교에서든, 어떤 사상이나 가르침에서든 공통적으로 적용될 법한 일반적인 ‘잘 사는 방법’이 없는 것은 아닐 것이다. 이를테면 부처님도 하느님도 또 수많은 인류의 성자, 사상가들도 모두가 한결같이 '사랑을 베풀라' '자비를 베풀라' '이웃과 나..

에베레스트의 관문, 남체바자를 가다 - 에베레스트 라운딩(6)

관례적으로, 고산증세가 오기 시작한다는 3,440고지 남체바자에서 많은 여행객들은 고산적응 시간으로 이틀 밤을 머문다. 도착한 다음날 바로 출발하는 것이 아니라 고산에 적응하기 위한 시간으로 하루를 더 머물며, 주로 남체바자 마을의 뒤쪽 산 위에 자리잡은 샹보체(syangboche, 3720m)와 아마다블람(ama dablam, 6,856m), 로체(lhotse, 8,516m), 타보체(Taboche, 6367m), 탐세르쿠, 에베레스트(everest, 8,850m) 등의 영봉들이 환히 보이는 일본인이 소유의 에베레스트 뷰 호텔(Everest View Hotel, 3900m)을 다녀오는 일정으로 하루를 더 보내곤 하는 것이다. 물론 나 또한 그 관례를 따르기로 한다. 때때로 젊고 혈기 왕성한 트레커들이 ..

물은 우유도 되고 독도 된다

일수사견(一水四見)이란 말이 있습니다. 같은 물이지만, 천상의 신들이 보면 유리로 장식된 보배로 보이고, 인간이 보면 마시는 물로 보이며, 물고기가 보면 사는 집으로 보이고, 아귀가 보면 피고름으로 보인다는 것입니다. 또한 원효스님께서는 '청산 계곡의 맑은 물도 소가 마시면 우유를 낳 고, 독사가 마시면 독을 낳는다' 고 하셨습니다. 물에는 고정된 자성(自性)이 없기 때문입니다. 모든 것 이 마찬가지지요. 고정되게 '이것이다' 할 만 한 것이 없다는 것이 진리입 니다. '진리다'라고 할 만한 것이 없는 것이 진리이지요. 그런 데 어때요... 우리 머릿 속은 숯한 고정 관념들로 복잡하기만 합 니다. 고정된 관념은 사물을 '좋고 싫은' 양 극단으로 몰아 가고, 이어 우리 삶을 행복하고 괴롭게 만듭니다. 바 ..

욕망이 아닌 필요에 의한 소유

많은 사람들이 소유에 집착 하면서 동시에 자유를 찾아 나서는 것을 봅니다. 그러나 소유와 자유를 동시에 얻을 수 있기란 삶과 죽음 을 동시에 가지려는 것처럼 어리석은 생각입니 다. 가진 것이 많을 수록 집착하고 있는 것이 많을 수록 그만큼 자유를 빼앗기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 다. 소유는 우리를 얽어매고 되려 우리를 소유해 버리고 맙니다. 소유를 통해 행복을 찾으려 하지 말고, 그냥 지금 이 대로의 텅 빈 행복을 느낄 수 있어야 합니다. 그냥 그냥 지금 여기에서 충분하고 꽉 찬 온연한 내면 을 비추는 텅 빈 충만을 말입니다. 그것을 느끼지 못 한다면 언제까지고 행복은 요원하기만 할 것입니다. 자꾸 늘 리려고 하고, 채우려고 하면 세상에 얽매임이 많아 지다 보니 우리 본연의 맑은 참빛을 놓치게 됩니다...

금강경 제22분 무법가득분 강의

금강경과 마음공부 카테고리 종교 지은이 법상 (무한, 2007년) 상세보기 제 22, 무법가득분 얻을 법이 없다 無法可得分 第二十二 須菩提 白佛言 世尊 佛得阿뇩多羅三먁三菩提 爲無所得耶 佛言 如是如是 須菩提 我於阿뇩多羅三먁三菩提 乃至無有少法可得 是名阿뇩多羅三먁三菩提 수보리가 부처님께 사뢰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으셨다는 것은 곧 얻으신 바가 없음을 말하는 것입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러하고 그러하다. 수보리야.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대해 나는 그 어떤 작은 법도 얻은 것이 없으므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라 이름할 수 있는 것이다.” 무법가득분(無法可得分)에서는 본래 얻을 법이 없음을 밝혔다. 금강경에서는 끊임없이 무아(無我)의 이치를 밝히고 있다. 나라는 것이 고정된 실체가..

가을 단풍여행의 최절정, 봉화 청량사

청량사 주소 경북 봉화군 명호면 북곡리 247 설명 신라 문무왕 3년 원효대사가 창건했다고 전해지는 절 상세보기 가을이 오는 소리가 매미소리를 통해, 또 창밖의 밤 떨어지는 소리를 통해 들려오고 있는 요즘입니다. 밤에 자다가 조립식 지붕 위로 뚝 뚝 뚜두둑 하면서 밤 떨어지는 소리가 얼마나 크게 들려오는지 깜짝 놀라 깨어날 정도입니다. 봄에는 대흥사, 백련사, 무위사를 순례하고 왔었는데요, 이번 가을 순례에는 어느 도량을 갈까 고민중입니다. 백양사, 내장사 등을 다녀올까도 싶고, 혹시 계획이 잡히면 목탁소리에도 함께 공지를 드릴테니 시간 되시는 분들은 가을 산사순례를 함께 떠나 보시지요. 혹시 가을 단풍 구경 가실 분들이 계시다면 경북 봉화의 청량사를 추천 해 드립니다. 청량사는 그야말로 제가 다녀본 곳..

달마스님의 관심 수행법

마음을 놓아라 그리고 천천히 걸어라 카테고리 시/에세이 지은이 법상 (무한, 2009년) 상세보기 달마스님의 파상론(破相論)을 보면 관심 수행에 대한 소중한 말씀을 들을 수 있습니다. “만일 누군가가 깨달음에 이르고자 결심했다면 그가 수행할 수 있는 가장 본질적인 방법은 무엇입니까?” “가장 본질적인 방법은 다른 모든 수행법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것은 바로 마음을 지켜보는 것이다.” 다른 일체 모든 수행법을 포함하고 있는 가장 본질적인 수행방법은 다름 아닌 마음을 지켜보는 일이라고 말하고 계십니다. 관하는 것이 곧 마음을 비우는 일이며, 무심(無心)에 이르는 길이고, 집착을 놓는 일, 방하착의 길이며, 나아가 본성을 살피는 길인 것입니다. 제자는 다시 묻습니다. "그러나 삼계와 육도는 무한히 넓습니다. ..

금강경 제21분 비설소설분 강의

금강경과 마음공부 카테고리 종교 지은이 법상 (무한, 2007년) 상세보기 제 21, 비설소설분 설함 없이 설하다 非說所說分 第二十一 須菩提 汝勿謂如來作是念 我當有所說法 莫作是念 何以故 若人言 如來有所說法 則爲謗佛 不能解我所說故 須菩提 說法者 無法可說 是名說法 爾時 慧命須菩提 白佛言 世尊 頗有衆生 於未來世 聞說是法 生信心不 佛言 須菩提 彼非衆生 非不衆生 何以故 須菩提 衆生衆生者 如來說非衆生 是名衆生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내가 법을 설했다’는 생각을 내겠느냐?” “그렇지 않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내가 법을 설했다’는 그런 생각을 내시지 않습니다.” “만일 어떤 사람이 ‘여래가 법을 설했다’고 한다면 이는 곧 여래를 비방하는 것이며, 내가 설한 바를 알지 못하는 것이다. ..

최선의 삶을 사는 방법

혼자 있어야 한다는 것은, 외로움과 마주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은, 철저한 고독과 마주한다는 것은, 한 편 바깥 세상에 대한 모든 기대와 관심을 다 놓아버리고 혼자서 걷는다는 말도 되지만, 또 한 편 그 내적인 의미는 내적인 고독, 내적인 침묵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내 안에서는 수많은 생각과 기억, 고정관념, 편견, 판단을 비롯한 수없이 많은 것들이 서로 다투고 있습니다. 혼자서 가만히 있는다고 다 가만히 있는 것이 아니예요. 다 혼자서 외로움을 느끼는 것이 아닙니다. 머릿 속에서 온갖 생각과 기억들이 춤을 춘다면 그 사람은 결코 혼자 있는 것이 아닙니다. 온갖 과거로부터 온 생각과 기억 판단들과 함께 있는 것이지요. 혼자 있는다는 것은, 내면적으로 완전히 침묵한다는 것을 말합니다. 내적으로 침묵한다는 ..

금강경 제20분 이색이상분 강의

금강경과 마음공부 카테고리 종교 지은이 법상 (무한, 2007년) 상세보기 제 20, 이색이상분 형상과 모습을 여의다 離色離相分 第二十 須菩提 於意云何 佛 可以具足色身 見不 不也 世尊 如來 不應以具足色身 見 何以故 如來 說 具足色身 卽非具足色身 是名具足色身 須菩提 於意云何 如來 可以具足諸相 見不 不也 世尊 如來 不應以具足諸相 見 何以故 如來說 諸相具足 卽非具足 是名諸相具足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구족한 몸을 갖춘 것만을 보고 부처라고 할 수 있겠느냐?”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구족한 몸을 갖추었다고 여래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여래께서 말씀하시는 구족한 몸은 곧 구족한 몸이 아니라 그 이름이 구족한 몸이기 때문입니다.”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가히 구족한 [32상]..

10가지 착한마음

선한 마음... 착한마음은 무엇일까? 착함이 깃드는 마음, 우리가 행하며 살아가야 하는 마 음 그 착한마음을 알려드립니다. 착한마음으로 사시길... 善의 心所(마음이 있 는 곳) 1. 믿음(信) : 마음이 청정하며 객관 세계를 비롯한 모든 대상에 대하여 의심하지 않고 확 신을 갖는 것. 마음이 청정해야 믿음이 생깁니다. 모든 대상을 확신한다는 것은 모든 대상과 내가 둘이 아님 을 믿는 것입니다. 모두가 비로자나 법신 부처님임을 믿는 것입니다. 믿는 마음이 첫번째 으뜸가는 착한마음입니다. 2. 방 일하지 않기(不放逸) : 선법(善法)을 수행하며 항상 올바른 일에 정진하여 방일하지 않는 것. 선법이란 착한 가르침을 말합니다. 선한 일상을 실천함에는 게으름이 있어선 안됩니다. 방일이란 게으름입니다. 부지런한 ..

고요한 마음, 명상의 기쁨

날마다 새롭게 일어나라 카테고리 시/에세이 지은이 법상 (무한, 2007년) 상세보기 부처님 법은 세상과 거꾸로 가는 법이라 하였습니 다. 법에서는 수행하면 행복하고 몸뚱이 편히 놀리면 불행하지만 사람들이야 수행하기 힘들어 수행할 땐 괴롭고 몸뚱이 편히 놀리면 행복을 느끼거든 요. 수행할 때는 우선 몸뚱이 착심을 닦으면서 정진을 하다 보니 육신의 피로며 하기 싫은 마음들로 괴롭겠지만, 그 내면에는 나도 모르게 큰 힘이 쌓입니다. 세상을 당당하게 살아갈 수 있는 내면의 중심잡힌 힘이 붙는 것입니다. 그렇지만 수행을 하지 않을 때는 몸과 마음을 놀리다 보니 당장에는 편하겠지만, 우리의 내면은 괴로워 눈물을 흘립니다. 그렇지만 우리는 그 눈물을 보지 못해 요. 그러다 보니 수행 안 해도 잘 살았다고 그럽니 다..

최선의 삶을 사는 방법

하늘에서 내리는 비가 골고 루 세상을 적셔 주듯, 우주 법계에서 내리는 법의 비도(法雨) 온누 리에 공평무사하게 내립니다. 우주 법계에서 내리는 법우를 우주 법계의 에너지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고, 법 신 부처님의 힘이라고도 할 수 있고, 충만한 성령이나 영성 이라 할 수도 있을 테고, 우주의 힘이라고 할 수도 있 을 것 같습니다. 말이야 무어라고 해도 상관없 지요. 그것에 인격적인 요소를 가미하여 하느님, 부처님이라 고 해도 좋을 것입니다. 이러한 우주 법계의 에너지는 아무런 분별도 없고, 시공의 차별도 없습니다. 그저 그냥 충만하게 있을 뿐입니다. 시간이라는 개념도 사실은 우리 인간들이 만들어 놓은 개념에 불과하지요. '지금 이 순 간' 과거 현재 미래가 고스란히 있는 것입니다. 공간이 라는 개념 또..

두 번째 화살을 맞지 말라

어리석은 범부나 지혜로운 사 람이나 경계를 대하면 좋고 나쁜 생각을 일으킨다. 그러나 범부들은 그 감정에 포로가 되 어 집착하지만, 지혜로운 사람은 감정을 갖더라도 그것에 집착하지 않는 다. 그래서 어리석은 사람은 두 번째 화살 을 맞는다고 하고, 지혜로운 사람은 두 번째 화살을 맞지 않는다고 한다. "두 번째 화살을 맞지 말 라." 아함경의 아주 중요한 경구입니다. 금강경에서의 "응무소주 이생기심" 이라는 말과 같은 말이지요. 육근과 육경이 있는 이상 경계를 만나 면 당연히 감정이 일어나게 마련입니다. 그러나 어리석은 사람은 그 감정에 집착하기 때문에 좋다거나 싫다거나 하고 분별하고, 그 분별로 인해 행복과 불행을 수 없이 만들어 냅니다. 그러나 지혜로운 사람은 경계를 만나더 라도 잘 관찰함으로써 그 ..

금강경 제19분 법계통화분 강의

금강경과 마음공부 카테고리 종교 지은이 법상 (무한, 2007년) 상세보기 제 19, 법계통화분 법계를 모두 교화하다 法界通化分 第十九 須菩提 於意云何 若有人 滿三千大千世界七寶 以用布施 是人 以是因緣 得福多不 如是 世尊 此人 以是因緣 得福 甚多 須菩提 若福德 有實 如來不說 得福德多 以福德 無故 如來說 得福德多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만약 어떤 사람이 삼천 대천 세계에 가득 찬 칠보로써 널리 보시한다면 그 사람은 그 인연으로 많은 복을 얻겠느냐?”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그 사람은 그 인연으로 아주 많은 복을 얻을 것입니다.” “수보리야, 만약 복덕이 진실로 있는 것이라면 여래가 복덕을 많이 얻는다고 말하지 않을 것이지만, 복덕이 본래 없는 것이므로 여래가 많은 복덕을 얻는다고 말한 것이..

금강경 제18분 일체동관분 강의

금강경과 마음공부 카테고리 종교 지은이 법상 (무한, 2007년) 상세보기 제 18, 일체동관분 일체를 하나로 보라 一切同觀分 第十八 須菩提 於意云何 如來有肉眼不 如是 世尊 如來有肉眼 須菩提 於意云何 如來有天眼不 如是 世尊 如來有天眼 須菩提 於意云何 如來有慧眼不 如是 世尊 如來有慧眼 須菩提 於意云何 如來有佛眼不 如是 世尊 如來有佛眼 須菩提 於意云何 如來有佛眼不 如是 世尊 如來有佛眼 須菩提 於意云何 如恒河中所有沙 佛說是沙不 如是 世尊 如來說是沙 須菩提 於意云何 如一恒河中所有沙 有如是沙等恒河 是諸恒河 所有沙數 佛世界 如是 寧爲多不 甚多 世尊 佛告須菩提 爾所國土中 所有衆生 若干種心 如來悉知 何以故 如來說諸心 皆爲非心 是名爲心 所以者何 須菩提 過去心 不可得 現在心 不可得 未來心 不可得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

말다툼이나 시비가 붙었을 때

[강원도 정선의 어느 고요한 마을에서...] 사람이 살다보면 부부간에 도 그렇겠고, 사회생활에서도 그렇고, 또 가족, 친척 간이나 친구들 지간에 도, 사소한 오해나 시비로 인해 말다툼이나 심지어 싸움까 지 심하게 하는 경우가 많이 있을 것 같습니다. 사람이라는게 다른 사람 둘 이서 싸우는 것을 보면 서로 양보하라거나, 한 쪽에서 그냥 마음 풀으라고도 하고 여러 가지 많은 조언을 해 줄 수 있지만 이게 막상 내 일이 되면 이론처럼 그렇게 쉽지 않아 요. 객관이 되어서 두 사람 싸 우는 것을 지켜볼 때는 조언이 쉽다는 것을 잘 알 것입니 다. 그것은 그만큼 감정을 섞지 않고 잘 관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사람들 싸우는 것을 보면 참 어이가 없고, 어찌 다 큰 어른들이 저런걸 가 지고 싸우나 싶고, 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