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54 Page)
법상스님의 목탁소리

상주 대원정사 일요법회(13:30), 부산 목탁소리 토요법회(13:30)

상주 대원정사 일요법회(13:30) 부산 목탁소리 토요법회(13:30) 자세히보기

분류 전체보기 1286

'집착'할 것인가 '선호'할 것인가

집착하는 것을 가졌을 때 행복하다는 것은 착각에 불과하다. 욕망이 충족된 순간의 기쁨은 단순한 쾌락에 비교할 만하다. 그것은 영원하지 않다. 집착의 크기는 늘 집착하는 것을 얻는 능력보다 더 크고 빠르게 증폭된다. 아무리 빠르게 쟁취해 내더라도 그것을 쟁취한 순간, 집착은 그보다 더 많은 것을 원한다. 집착하는 대신 단순히 선호할 수도 있다. 욕망하지 않고 그저 원할 수도 있다. 머무는 바 없이 마음을 낼 수도 있다. 이것이 핵심이다. 행하되 행한 바 없는 무위의 삶이 바로 이것이다. 결과에 대한 집착 없이 매 순간 그저 선호한 것을 행해 보라. 선호는 단순히 원할 뿐 집착이 없는 순수한 동기다. 집착이 없다고 선호하는 것까지 없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선호는 결과에 대한 집착이나 두려움이 없기에 오히려..

여덟가지 괴로움, 팔고 - 삼법인 강의(12)

5) 애별리고(愛別離苦) 앞의 네 가지 생노병사의 괴로움이 몸의 괴로움이라면 애별리고와 원증회고, 구부득고는 정신의 괴로움이라고 할 수 있다. 애별리고는 좋아하는 것과 떨어져야 하는 괴로움이다. 사랑하는 사람이나 좋아하는 사물 등 자신을 즐겁고 안락하게 해 주며 삶을 풍요롭게 해 주는 여러 가지 조건이나 상황, 사물이나 사람들과의 헤어짐 혹은 이별에서 오는 고통을 말한다. 좋아하는 것을 가지고 싶고, 좋은 사람과는 늘 함께 하고 싶은 것이 사람의 마음이다. 그러나 좋아하는 것이 생기면 곧 애욕과 집착이 생기고, 애욕과 집착은 우리를 얽어맨다. 물론 언제까지고 애착하는 것을 가질 수 있다면 상관없겠지만, 제행무상의 모든 것은 변화한다는 이치에 따르면 그 어떤 것도 언제까지고 내 것으로 소유할 수 있는 것은..

통제하려는 마음을 멈추라

[법상 스님의 날마다 해피엔딩] "내가 원하는대로 삶을 통제하려고 애쓰던 마음을 얼마나 멈출 수 있는가. 인생이 자기 속도로 완벽하게 흐르고 있음을 얼마나 받아들이고 내버려 둘 수 있는가. 행복이란 인생이 자기 속도로, 자기 방식대로 흘러가도록 얼마나 내버려둘 수 있는가에 달렸다. 내가 원하는 방식이 아닌 삶이 흐르는 방식에 얼마나 동의할 수 있는가. 자연스럽게 흐르고 있는 삶의 완전함을 보라. 그 흐름을 그저 타고 흘러가기만 하라. 그렇게 될 때 우리 앞에 얼마나 무수한 기회와 가능성들이 찾아오고 있는지, 아무런 힘도 들이지 않고 최상의 것을 얻을 수 있는지, 그 무엇과도 다투거나 두려워하지 않으면서도 평화롭고도 완전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지를 깨닫게 될 것이다." ------------ 스님의 문자서..

언제나 아무 일도 없다

[법상 스님의 날마다 해피엔딩] "인생사에 아무리 많은 괴로움과 온갖 일들이 벌어졌다고 하더라도 본질의 입장에서 본다면 모두가 꿈과 같은 것이고 환영이요 신기루와 같은 것일 뿐이다. 본연의 자리에서는 언제나 아무 일도 없다. 그렇기에 꿈과 같고 연극과 같은 이 삶의 무대 위에서 한바탕 연극의 주인공이 되어 인생을 즐기고 누리며 만끽하고 살 줄 알아야 한다. 크고 작은 괴로움에 마음이 걸려 매번 넘어지기를 반복할 것이 아니라 그것들이 모두 실체가 있는 것이 아니라 다만 연극의 각본일 뿐임을 알아 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처럼 한바탕 걸림 없이 살다 갈 수 있어야 한다. 어차피, 어떤 일이 일어나는 것처럼 보일 뿐 사실은 아무 일도 없기 때문이다. 허공꽃!" ------------ 문자신청 : BBS 불교방송..

네 가지 괴로움, 사고(四苦) - 삼법인 강의(11)

괴로움의 종류 - 사고팔고 이처럼 무상하고 무아인 것은 언제나 고일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우리가 느끼는 괴로움이란 어떤 것들이 있을까. 대표적인 괴로움을 불교에서는 사고(四苦), 팔고(八苦)로 분류하고 있다. 즉, 사고(四苦)란 나고 늙고 병들고 죽는 생노병사(生老病死)라는 인간의 근원적인 괴로움을 말하고, 여기에 다시 애별리고(愛別離苦), 원증회고(怨憎會苦), 구부득고(求不得苦), 오음성고(五陰盛苦)를 포함시키면 여덟 가지의 괴로움인 팔고가 되는 것이다. 사고팔고를 하나 하나 살펴보자. 1) 생고(生苦) 첫째는 생고(生苦)로, 언뜻 생각해 보면 태어나는 것이 어떻게 괴로움일까 싶지만 가만히 사유해 보면 생(生)이야말로 노병사의 직접적인 원인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태어나기 때문에 존재의 모..

일체개고, 무상 무아는 곧 괴로움 - 삼법인 강의(10)

3. 일체개고(一切皆苦) 무상, 무아는 곧 괴로움이다 괴로움 혹은 즐거움이란 것이 무엇인가. 내 뜻대로 모든 것이 순조롭게 진행될 때 우리는 즐거움을 느끼고 내 마음대로 되지 않을 때 괴로움을 느낀다. 내가 원하는 대로 잘 되면 행복, 안 되면 불행한 것이다. 그런데 우리는 어떤 것을 원하는가. 항상 하는 것을 원한다. 나라는 존재가 항상 하는 것을 원하고, 내 소유가 항상 하는 것을 원하며, 내 가족이 항상 하는 것을 원한다. 내가 빨리 죽기를 원하거나, 내 소유와 지위와 권력과 또 내 이웃들이 항상 하지 않고 빨리 없어지기를 원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런데 항상 하기 위해서는 그 모든 것들이 고정된 실체가 있어야 한다. 변하지 않고 실재적으로 존재해야만 한다. 그래야만 언제까지고 내 곁에 붙잡아 ..

역경이 아닌, 기쁨을 통해 성장하려면

[법상 스님의 날마다 해피엔딩] "역경과 고통을 통해 삶을 배워나가는 것은 분명하지만, 그렇다고 역경과 고통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얼마든지 행복하고 즐거운 일을 통해서도 삶을 깨달아갈 수 있다. 사실 고통스런 일을 만들어낸 것은 내 생각일 뿐이다. 단순하다. 긍정적인 생각이 많아지면 긍정적인 삶이 만들어지고, 부정적인 생각이 많아지면 부정적인 환경이 만들어진다. 역경을 통해서만 성장한다고 믿으면 역경이 올 것이고, 삶의 본질이요 가장 자연스런 상태는 행복과 기쁨에 있다고 믿으면 그렇게 될 것이다." ------------ 스님의 날마다 해피엔딩 문자서비스 선물하기 http://m.bbsi.co.kr/mtbs ------------ BBS 불교방송(1855-3000)

제법무아의 생활실천, 지관 - 삼법인 강의(9)

이와 같이 이 세상에 존재하는 일체 모든 것들은 전부가 실체적인 자아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다만 인연 따라 잠시 모임으로써 그러한 모습으로 나타났을 뿐이다. 언젠가 그 모든 것은 사라지고 말 것이며, 지금 이 순간도 끊임없이 변화해 가고 있다. 이처럼 ‘일체 모든 것’들이 고정된 실체가 없으며, 무아라면 그 어떤 것에 집착할 수가 있을까. 내가 집착할 수 있는 일체 모든 대상들은 전부 무아이며, 고정된 실체가 없다. 그것이 ‘내 것’이라고 아무리 이름을 써 놓고 고집을 부려 봐야 어디에도 영원한 ‘내 것’은 없다. 내가 없을진데 내가 소유하는 것이야 말해서 무엇하겠는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들의 삶의 모습을 살펴보면, 끝끝내 집착을 포기하지 못하며, 애욕과 욕심의 충족만이 살 길인 양, 돈과 재산과 ..

참나, 주인공, 불성도 없다 - 삼법인 강의(8)

이렇게 제법무아에서는 모든 존재에 대해 고정된 실체가 없다고 보고 있다. 그런데 여기에서 한 가지 의문이 생긴다. 제법무아에서 무아는 ‘고정적인 실체로써의 나’ 혹은 ‘본질적인 나’라는 것 또한 없다고 했는데, 그렇다면 우리가 알고 있는 본질적인 나, 즉 불성(佛性)이나 여래장(如來藏), 참나, 진아(眞我), 대아(大我), 주인공 등도 과연 무아인가 하는 점이다. 보통 불교를 믿는 이들은 중생의 성품을 버리고 부처의 성품을 깨달아야 한다거나, 거짓나를 여의고 참나를 찾아야 한다거나, 불성을 깨닫고 주인공을 찾아야 한다고 배워왔다. 그렇다면 이는 지금까지 배워 온 사실과는 어긋나는 교리가 아닌가. 여기에서 불교를 공부하는 이들이 꼭 이해하고 넘어가야 할 근본법과 방편법의 이해가 대두된다. 즉 본질적인 가르..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