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42 Page)
법상스님의 목탁소리

상주 대원정사 일요법회(13:30), 부산 목탁소리 토요법회(13:30)

상주 대원정사 일요법회(13:30) 부산 목탁소리 토요법회(13:30) 자세히보기

분류 전체보기 1288

마음이 만들어낸 세상 - 십이처(3)

마음(의입처)이 만들어낸 세상 청정한 육근으로 인식되는 세상은 괴로울 것이 없지만, 육근이 오염되고, ‘나’라는 관념이 개입되게 되면 육근에 대한 의식이 육내입처로 바뀌면서 괴로움이 생겨난다. 이것이 고의 원인이라고 했다. 여기에서는 12연기의 지분 중 하나인 육입(육내입처)이 왜 괴로움의 원인인지를 배웠을 것이다. 그러면 육근이 오염되면서 어떻게 육입처의 의식으로 왜곡되는지를 살펴보자. 앞에서 안이비설신 오근이 각자 자신의 대상을 인식한 것을 가지고 의근(마음)은 종합하여 사람, 동물, 과일, 산과 들 등 삼라만상으로 인식하며, 나아가 행복, 질투, 고요, 기쁨 등의 정신적인 것들 또한 인식하게 된다고 했다. 의근의 대상은 물질적 정신적인 모든 것, 존재와 비존재의 모든 것을 대상으로 지각하는 것이다...

자녀와 소유물 때문에 기쁘고 근심한다

[숫타니파타]에서는 말한다. “자녀가 있는 이는 자녀로 인해 기뻐하고, 소를 가진 이는 소로 인해 기뻐한다. 사람들은 집착으로 기쁨을 삼는다. 그러니 집착할 것이 없는 사람은 기뻐할 것도 없다... 자녀가 있는 이는 자녀로 인해 근심하고, 소를 가진 이는 소 때문에 걱정한다. 사람들이 집착하는 것은 마침내 근심이 된다. 집착할 것 없는 사람은 근심할 것도 없다.” 자녀가 있으면 자녀로 인해 기쁘고, 돈이 있으면 돈 때문에 기쁘고, 차가 있으면 차로 인해 기쁘다. 그러나 이 모든 소유에서 오는 기쁨은 항상 하지 않으며 근원적이지 않다. 언젠가 소유물은 없어지고 만다. 소유한 것이 소멸되었을 때 그에 따른 괴로움이 동반된다. 그러나 소유하더라도 소유에 대한 집착이 없을 때 그 때 참된 기쁨은 언제나 그 자리..

괴로움의 원인과 아상 - 십이처(2)

육내처와 아상의 발생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안이비설신의 육근은 육경을 대상으로 인식한다. 그런데 육근이 청정할 때는 육경을 대상으로 왜곡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볼 수 있게 된다. 자기 식대로 해석하거나 판단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외부의 대상을 보기 때문에 안팎이 둘로 나뉘지도 않고 분별과 차별도 없으며 그렇기에 괴로움을 만들어내지 않는다. 상대방이 나에게 뚱뚱하다고 말할지라도 그저 뚱뚱한 것을 뚱뚱하다고 했구나 하고 분별없이 받아들이면 괴로울 것이 없다. 뚱뚱하다는 말 그 자체는 중립적이다. 살이 안 쪄서 괴로워하는 사람이 있다면 오히려 그 말은 듣기 좋은 칭찬처럼 들릴 것이고, 아프리카의 뚱뚱한 것이 미의 기준이라는 부족에서는 최고의 찬사가 될 수도 있다. 그러나 그 중립적인 말을 내 식대로 해석하여..

육근과 십이처의 이해 - 십이처(1)

육근과 십이처의 이해 앞에서 육근은 눈귀코혀몸뜻이라는 우리의 감각기관을 비롯한 감각기능, 감각활동이라고 했다. 우리는 육근을 통해 외부의 대상을 인식하여 받아들인다. 그런데 이렇게 우리 안의 감각기능인 육근을 통해 외부의 대상인 육경을 인식하다 보니, 내 안에 육근이 진짜로 있고, 내 밖에는 육경이 진짜로 있는 것 같은 착각을 가지게 된다. 내 안에 육근이 진짜로 있고, 내 밖에 육경이 진짜로 있는 것이 아니라, 다만 인연 따라 그 기능과 활동을 할 뿐이지만 우리는 그러한 감각활동을 하는 존재를 ‘나’로 그 감각의 대상을 ‘세계’로 나누어 분별하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육근이라는 인연 따라 생겨난 감각기능과 활동을 ‘나’라고 여기는 잘못된 착각을 육내입처 혹은 육내처라고 하고, 그 감각 대상을 ‘세계’..

육근청정의 빛나는 순간 - 육근과 육경(2)

부처의 육근과 중생의 육근 우리의 육근은 끊임없이 외부 경계에 따라 끄달리고 휘둘리곤 한다. 그러나 반드시 그래야만 하는 것일까? 언제가지고 외부 경계에 끄달리며 마음을 오염시켜야 하는 것일까? 외부 경계는 실체적으로 번뇌를 야기하는 티끌과 같아서 언제나 우리 마음을 오염시키는 것들일까? 그렇지 않다. 외부 경계에는 아무런 잘못이 없다. 아무런 문제도 없다. 언제나 여여하게 오고 갈 뿐이다. 있는 그대로 자연스럽게 오고 갈 뿐이다. 문제는 그러한 중립적인 현상에 대해 분별하고, 해석하며, 끄달리고, 오염되는 우리 마음에 있다. 겨울이 춥고, 여름이 더우며, 비 오는 날도 있고, 바람 부는 날도 있는 것은 자연스러운 자연의 이치일 뿐이다. 그러나 사람들은 겨울은 좋고 여름은 싫다거나, 반대로 겨울은 싫고 ..

경계에 끄달리지 말라 - 육근과 육경(1)

육근과 육경의 이해 일체법을 이해하는데 있어 가장 먼저 알아야 할 순서는 육근(六根)과 육경(六境)에 대한 이해이다. 보통 육근은 우리 몸의 여섯 가지 감각기관이고, 육경은 각각의 여섯 가지 감각기관에 대응하여 감각되어지는 외부의 감각대상이라고 알고 있다. 먼저 간단히 살펴보면, 육근은 눈, 귀, 코, 혀, 몸, 뜻으로 안이비설신의(眼耳鼻舌身意)이며, 육경은 그 대상인 색성향미촉법(色聲香味觸法)이다. 각각 여섯 가지 감각기관은 그에 따르는 감각대상을 가지고 있다. 눈(안근)은 색(색경)을 대상으로 하며, 색은 빛깔과 모양을 지닌 모든 대상을 의미한다. 사람, 산과 들, 나무와 짐승들, 달과 별 등 눈으로 볼 수 있는 모든 것이 ‘색’이다. 귀(이근)는 소리(성경)를 그 대상으로 하고, 코(비근)는 향기(..

일체법이란 무엇인가 - 십이처와 십팔계

일체법이란 무엇인가 앞에서 연기법과 삼법인을 살펴보며, 이 세상의 모든 법은 인연 따라 화합된 존재로써 항상하지 않으며, 고정된 실체로써의 자아가 있지 않다는 점을 살펴보았다. 우리가 ‘나’라고 생각하는 것은 사실 고정된 실체로써의 ‘나’가 아니고, 내 바깥에 있다고 생각하는 ‘세계’, ‘대상’이라는 것 또한 실체로써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내적인 ‘자아계’도 공하고, 외적인 ‘대상계’ 또한 텅 비어 공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나’라는 것이 존재한다고 여기고, 내 바깥에는 ‘세계’가 있다고 생각하며 살아가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왜 있지도 않은 ‘나’와 ‘나의 대상’을 있다고 착각하며 살게 되었을까? 우리가 ‘있다’고 여기는 것은 도대체 무엇이며, 그것은 정말로 있는 것일까? 초기불교의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