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45 Page)
법상스님의 목탁소리

상주 대원정사 일요법회(13:30), 부산 목탁소리 토요법회(13:30)

상주 대원정사 일요법회(13:30) 부산 목탁소리 토요법회(13:30) 자세히보기

분류 전체보기 1286

중심 잡힌 삶을 살려면

우리는 잘 산다고 생각하지만 설렁설렁 살다가 죽기 직전에 후회하는 그런 사람들이 얼마나 많겠습니까? 복덕을 증득하면 어디가도 가난해 지지가 않고, 인복이 생기고 재복이 생기고 모든 복덕이 생겨요. 그런데 수행을 많이 하면 뭐가 생기냐면, 중심이 딱 잡힙니다. 괴로운 일이 생겼을 때 휘청거리지 않는 중심이 생겨요. 욕을 들어 먹어도 칭찬을 들어 먹어도 휘청거리지 않고 중심을 딱 잡습니다. 괴로움의 근원, 행복의 근원이 내 안에 딱 있어서 내가 스스로 통제가 가능하단 말이예요. 그래서 몸이 아프건 상황이 괴로워 졌건 주변 사람들과 껄끄러운 마음이 생겼건, 주변 상황에 상관없이 내 안에서 행복이 우러나온다, 라는 걸, 그 지혜를 깨닫는단 말입니다. 그러니까 휘청거리질 않는다. 경계에 휘둘리지를 않는다. 좋은 ..

불교와 선불교의 실천수행법 설법 녹취록

부처님의 가르침을 우리가 '연기법'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부처님 가르침의 그 핵심을 보통 이야기할 때 '연기법'이라고도 이야기 하고, 또 뭐 중도 또는 공사상 혹은 또 이제 무아, 뭐 이렇게 이야기를 하거든요. 이것이 부처님의 가르침의 가장 중요한 어떤 핵심들인데요. 이것을 좀 간단하게 좀 풀어서 말씀을 드리면, 우리가 지금 눈으로 보고 있는 모든 것들, 또 귀로 들리고, 맛봐지고, 접촉하고, 생각의 대상들도 마찬가지고요. 일체 모든 '있다'라고 생각하는 모든 것들, 우리가 이렇게 감지할 수 있는 일체 모든 것들은 그것 자체로 만들어진 게 하나도 없다는 거죠. 그것 자체로써 어떤 주재자가 없고, 뭔가 어떤 실체적인 것이 하나도 없다는 겁니다. 다만 인연 따라서 그렇게 잠깐 만들어졌을 뿐이라는 겁니다. 인..

듣기 싫은 말을 들었을 때

[법상스님의 날마다 해피엔딩] "누군가가 나를 비난하거나, 듣기 싫은 말을 하거나, 동의하기 힘든 평가를 내린다면, 바로 그 순간, 당신은 아주 중요한 선택을 내려야 한다. 그 말을 받아들임으로써 스스로 그 부정적인 말의 위력에 굴복당한 채 그런 존재가 되기를 선택하거나, 아니면 정신을 똑바로 차려 깨어있는 의식으로써 그 말이 그저 아무 힘도 얻지 못한 채 그저 흘러가도록 할 것인가를 선택해야 하는 것이다. 사실 나에 대한 상대방의 평가는 어디까지나 그의 단편적인 관점일 뿐이며, 그 말은 진실도 거짓도 없는 중립적인 에너지일 뿐이다. 그 말이 힘을 가질지 말지는, 그 말이 진실인지 거짓인지는 언제나 나의 선택에 달려 있다. 별 의미 없이 쉽게 내뱉는 상대방의 말 한마디에 우리는 언제나 과도하게 의미를 부..

무언가를 해야 할 것 같은 불안감

우리는 지금 이대로의 삶에 만족하기 보다는 무언가 다른 것을 해야 하고, 보다 나은 방식으로 살아야 하지 않을까 하는 우려 속에서 살아가곤 한다. 뭔지 모르겠지만 무언가를 끊임없이 해야 할 것 같고, 지금과는 다른 방식으로 해야 한다고 느낀다. 스스로에게 끊임없이 어떤 할 일을 요구하는 것이다. 그러나 꼭 이렇게 스스로 만든 의무감의 무게 속에서 짓눌린 채 살아야만 하는걸까? 그냥 가볍게 지금 이대로를 받아들인 채 스스로를 격려해 주고 토닥여 주며 용서해 주고 수용해 줄 수는 없는 것일까? 정말 내가 그리도 잘못하고 있는것일까? 정말 내가 그렇게도 지금 이대로는 부족한 것일까? 나는 새롭게 변화된 뒤에나 받아들여 질 만큼 지금 이대로는 받아들여질 만하지 못한 존재일까? 사실 우리 모두는 자신이 할 수 있..

마음을 열고 나를 확장하는 방법 법문 녹취록

반갑습니다. 부처님께서 우리에게 가장 중점적으로 법을 설해 주셨던 가르침이 무아에 대한 가르침입니다. 무아라는 것은 쉽게 말하면 우리가 삶을 살면서 나라는 존재는 이 몸에 한정된 존재인 것으로 착각을 하고 이 마음, 이 생각에 한정된 것으로 보통 우리는 착각을 하면서 이 세상을 삽니다. 그래서 누구나 자기 능력을 한정 짓고 있어요. 나는 요 정도의 능력있는 사람이다. 내 능력은 이 정도고 나는 이 정도의 실력을 가지고 있고 이 정도의 부와 재능과 능력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다. 그리고 상대방은 어떻다 이렇게 얘기를 하면서 산단 말이죠. 그래서 누구나 자기 자신을 이렇게 한정 짓고 사는 것에 익숙해져 있는데 무아에서 본다면 본래 나라는 자아에 실체가 없다는 겁니다. '이 정도가 나야, 뭐 이정도를 갖춘 사람..

새롭게 시작하기 가장 좋은 때

[법상스님의 날마다 해피엔딩] "이런저런 상황만 잘 갖춰진다면 나도 정말 한번 멋지게 해 볼 수 있을텐데, 나에게도 저런 행운이 따른다면, 우리는 이런 생각들을 하곤한다. ’만약에’ 라는 말만 되풀이 하는 것으로는 그 무엇도 이룰 수 없다. 겉으로 보기에 지금 나에게 처한 조건이 최상이 아닐지라도, 사실 내가 새롭게 무언가를 시작하기를 저지를 최적의 순간은 바로 지금이다. 내가 지금 여기에 있다는 바로 그 사실만으로도 지금 여기에서 저질러 시작할 충분한 이유가 되지 않는가. 다른 상황, 다른 조건을 기대하지 말고 지금 내 안에서부터 시작해 보라. 내가 가진, 나에게 주어진 것만을 가지고도 충분히 시작할 수 있다. 단, 한 가지 저지르기에 앞서 유의해야 할 점은, 지금 이 일이 나 개인만을 위한 욕심과 집..

부처님 원음에서 배우는 지혜

부처님 원음서 배우는 지혜 목탁소리, 불교아카데미 개강 법상 스님 니까야 강의 직강 9월11일~12월4일 목요일마다 최호승 기자 | time@beopbo.com 승인 2014.09.02 09:56:12 ▲ 법상 스님부처님 원음에 가까운 설법이 담긴 니까야에서 삶의 지혜를 배울 수 있는 강좌가 마련됐다. 사이버 수행공간 목탁소리(지도법사 법상 스님)는 9월11일 오전 10시 서울 노원구 화랑호국사에서 초기경전 니까야 강의로 2014학년도 2학기 불교아카데미를 개강한다. 니까야 강의는 12월4일까지 매주 목요일 오전 10시부터 정오까지 2시간 동안 실시한다. 교재는 일아 스님이 펴낸 ‘한권으로 읽는 빠알리 경전’이다. 부처님 입멸 후 제자들이 함께 암송했던 부처님 가르침을 모아 수록한 팔리어 경전의 핵심만을..

괴로움을 없애는 생활수행법 법문 녹취록

반갑습니다. 지금 나눠드리는 종이들을 받아보시고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부분을 채워보시기 바랍니다. 밑에 세개는 안하셔도 되구요.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를 한 번 적어보는 겁니다. 첫 번째는 지금 현재 내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이나 또는 내가 해결하고 싶은 문제들이나 또는 불안한 부분이나 두렵거나, 고민하는 것들이 있다. 혹은 이걸 좀 해결했으면 좋겠다. '아, 내가 좀 이것만 해결되면 내 생에 참 행복할 것 같다. 나를 가장 괴롭히는 문제는 바로 이 문제다.' 하는 것들을 첫 번째 네모난 박스에 간단하게 적어 보는 겁니다. 나를 괴롭히는 문제는 한두 가지, 세 가지다 하면, 세 가지 칸이 있으니까 세 가지를 다 적어도 좋습니다. 만약에 그런 문제점이나, 괴로움이나, 불안 이런 게 없다면 혹..

법상스님 초기경전 니까야(아함경) 강의 안내 - 요일변경

법상스님의 초기경전 니까야 강의가 부득이한 사정으로 인해 매주 금요일에서 매주 목요일 10시로 바뀌게 되어 안내 해 드립니다. '14년 2학기 목탁소리 불교아카데미 안내를 드립니다. 육군사관학교 화랑호국사에서는 추석이 지난 목요일, 14년 9월 11일부터 2학기 불교아카데미를 시작할 예정입니다. 9월 11일(목)에 개강하여, 매주 목요일 10:00~12:00에 육군사관학교 내 화랑호국사에서 강의가 진행됩니다. 강의 내용은 석가모니 부처님의 생생한 가르침이 고스란히 살아있는, 니까야 강의가 있을 예정입니다. 니까야는 석가모니 부처님의 유일한 직설의 가르침으로, 우리가 기존에 알고 있는 아함경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아함경이 북방으로 전해진 석존의 가르침이라면, 니까야는 남방으로 전해졌으며 더욱 생생한 원..

처자식은 여관에 묵은 나그네와 같다

[사진 : 네팔 파슈파티나트의 화장터, 도착했을 때, 한 10대 젊은 여자 아이의 화장이 시작되고 있었다] [법상스님의 날마다 해피엔딩] "죽은 아들 생각에 슬퍼하던 아버지가 저승까지 찾아가 아들을 만나 와락 안으며 말했다. "우리 아들 여기 있었구나. 집에 가자. 많이 보고 싶었다" 하지만 아들은 깜짝 놀라며 말했다. "이 끝없는 윤회의 시간 중에 잠깐 당신의 아들이라는 인연이었던 적이 있었지만 그것은 옛 일일 뿐, 이제 저는 다른 분의 자식이 되었습니다." 아버지는 아들의 냉정한 태도에 실망해서 부처님을 찾아갔다. 부처님은 말씀하셨다. "부모와 처자식의 인연으로 만나는 것은 마치 여관에 묵은 나그네가 아침이 되면 떠나는 것과 같습니다. 만나면 헤어지는 당연한 이치를 자기 것이라 집착하여 놓지 못하며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