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47 Page)
법상스님의 목탁소리

상주 대원정사 일요법회(13:30), 부산 목탁소리 토요법회(13:30)

상주 대원정사 일요법회(13:30) 부산 목탁소리 토요법회(13:30) 자세히보기

분류 전체보기 1286

'양심', 내 안의 진리 나침반

직장인들이 선뜻 드러내 놓고 말하기 어려운, 누구나 있음직한 내밀한 고민이 하나 있다. 정직하고 투명한 분들께서 때때로 자신의 ‘양심’과 ‘욕심’ 사이에서 끊임없이 갈등하는 자신의 내면적 현실에 대해 토로하는 소리를 듣곤 한다. 공금을 사용할 때, 때때로 애매한 경우가 있다는 것이다. 공금으로 쓸 수도 있고, 사비로 쓸 수도 있는 경우에 마음속에서 계속 갈등이 일어난다고 한다. 깊은 양심에서는 공금이 아닌 사비로 지출하라고 말하지만, 표면적인 욕심과 아상은 끊임없이 ‘괜찮아, 공금을 써도 되.’ ‘그 정도는 괜찮을거야’ ‘설사 누가 안다 해도 크게 문제될 건 없잖아’ 라고 말하며 자신의 주머니 돈을 쓰지 말고 공금을 쓰라고 속삭여 댄다. 이런 정도라면 그래도 좋다. 때때로 좀 더 집요하게 아상과 아집은 ..

어떤 것을 이루고 싶을 때

무언가가 되고 싶거나, 삶에서 어떤 것을 이루고 싶을 때, 우리는 그것을 이루기 위해 애쓰고 노력한다. 익숙하게 배워왔던 인과업보의 가르침에서도 무언가 결과인 과보를 받고자한다면 원인이 되는 씨앗을 잘 뿌려야 한다고 말한다. 꾸준히 과보가 될 업을 잘 지어나가야 하는 것이다. 어떤 업을 지었느냐에 따라 그 결과는 자연스럽게 뒤따르는 것이기 때문이다. 물론 이러한 인과업보의 가르침은 매우 초보적이고도 당연한 세상의 원리를 설명한 것이다. 그러나 그것이 다는 아니다. 화엄의 오시교판설에 의하면 인과업보를 설하고 있는 아함부의 가르침은 중생들이 부처님의 핵심 사상을 알아듣기에는 너무 무지하여 초보적인 가르침인 아함을 먼저 설할 수밖에 없었다고 전한다. 아함의 인과업보설은 흡사 시크릿의 끌어당김의 법칙이나 예수..

법상스님 초기경전 니까야 강의 안내

'14년 2학기 목탁소리 불교아카데미 안내를 드립니다. 육군사관학교 화랑호국사에서는 추석이 지난 금요일, 14년 9월 12일부터 2학기 불교아카데미를 시작할 예정입니다. 9월 12일(금)에 개강하여, 매주 금요일 10:00~12:00에 육군사관학교 내 화랑호국사에서 강의가 진행됩니다. 강의 내용은 석가모니 부처님의 생생한 가르침이 고스란히 살아있는, 니까야 강의가 있을 예정입니다. 니까야는 석가모니 부처님의 유일한 직설의 가르침으로, 우리가 기존에 알고 있는 아함경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아함경이 북방으로 전해진 석존의 가르침이라면, 니까야는 남방으로 전해졌으며 더욱 생생한 원음에 가까운 경전입니다. 한 마디로 말해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직접 설하신 원음에 가장 가까운 경전이 바로 니까야 입니다. 아시다..

받아들이면 이렇게 바뀐다

[법상스님의 날마다 해피엔딩] "삶을 받아들이고 수용하는 것은 너무 소극적이거나, 수동적이 되기 쉽고, 삶의 의욕을 잃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이들이 있다. 과연 그럴까? 예를 들어보자. 원하지 않는 병이 왔다. 수용하지 않고 거부하는 자는 다음과 같이 생각한다. ’왜 나에게 이런 병이 왔지?’ ’세상은 너무 불공평해’ ’난 열심히 살았다구’ ’믿을 수가 없어’ ’병이 오지 않았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병이 없게 해 주세요’ 그러나 그 병을 수용하고 받아들이게 되면 이렇게 바뀐다. ’나에게 병이 왔다. 그래 인정해. 그렇다면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이 있을까?’ 과연 어느 쪽이 더 소극적이고 무기력한가. 거부할 때가 아니라 받아들일 때 우리는 더욱 할 일이 무엇인지에 대해 적극적으로 해 나갈 수 있는..

괴로운 삶을 살아주는 것이 명상

[법상스님의 날마다 해피엔딩] "괴로움, 초조함, 질투심, 답답함, 불쾌함 등에서 벗어나려고 애쓰지 말라. 거기에서 벗어나는 것이 수행이라는 잘못된 관념에서 놓여나야 한다. 수행이란 바로 그 괴로움, 초조와 질투, 불쾌감이 올 때 거기에서 벗어나려는 모든 노력을 하지 않고 그저 있는 그대로의 바로 괴로움 속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그 괴로움과 초조와 답답함을 살아주는 것이다. 도망치지 않고 바로 그 순간 일어나는 감정과 현실을 온전히 존중해주고 받아들여주며 일어나도록 허용해 주고 살아주는 것이야말로 참된 명상이다. 도망치거나 벗어날 필요가 없다. 그것이야말로 나를 깨닫게 해 주기 위해 찾아 온 고마운 스승이기 때문이다." ------------ 스님과의 대화방 http://m.bbsi.co.kr/mtbsb..

성적 떨어지고 무기력한 아들, 어떻게 해야 하죠?

불교방송 문자서비스 법상스님과의 공감댓글에서 오고 간 질문인데요, 많은 분들의 궁금해 하고 함께 공감하는 질문일 듯 하여 함께 공유합니다. [질문] 존경하는 법상스님께.... 고2 아들녀석의 기말고사 성적을 보니 수학은 3등급이고 나머지 과목은 6,7,8등급으로 중간이하입니다..주요과목은 학원도 다니고 과외도 하는데 학원이나 과외숙제도 제대로 안하는 경우가 좀 있고, 수행점수도 보니 성실하게 임한것 같지 않아 낮습니다..어떻게 하면 성적을 향상시킬수있는지 대화를 해보자고 해도 아빠의 그저그런 잔소리라고 싫어합니다. 학교 선생님은 잘 못가르친다는 둥 남 탓을 하기도 합니다..이번기말고사때도 3일정도 시험 보는데 첫날 시험 끝나고 pc방에 들렀다 왔습니다. 공부도 여러권을 여러번 보는게 좋다하면 그럴 시간이..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