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113 Page)
법상스님의 목탁소리

상주 대원정사 일요법회(13:30), 부산 목탁소리 토요법회(13:30)

상주 대원정사 일요법회(13:30) 부산 목탁소리 토요법회(13:30) 자세히보기

분류 전체보기 1288

오고 가도록 내버려 두라

모든 것은 오고 간다. 올 때가 되면 오고, 갈 때가 되면 간다. 그것이 진리의 모습이다. 그러니 진리를 깨닫기 위해 수행자가 할 수 있는 일은 올 때는 오도록 갈 때는 가도록 그대로 놔두고 다만 지켜보기만 하는 것이다. 모든 온 것은 그리 오래 머물지 않는다. 잠시 왔다가 잠시 머물러 가야할 때 갈 것이다. 생각도 잠시 왔다가 가고, 인생도 잠시 왔다가 가고, 돈도 잠시 왔다가 가고, 명예도, 권력도, 지위도, 사랑도, 행복도, 성공도, 실패도, 나라는 존재 또한 그렇게 잠시 왔다가 갈 것이다. 모든 것은 올 때가 되면 왔다가 갈 때가 되면 간다. 오고 감을 거부하지 말고 받아들이라. 그저 내 존재 위를 스쳐 오고 가도록 그저 내버려 두라. 행복이 온다고 잡으려 애쓰지도 말고 행복이 간다고 붙잡으려 애..

마음의 고향

하루는... 한번도 가 보지 않은 시골길을 그냥 따라 가 보았습니다. 길따라 길따라 무언가에 이끌렸는지 그냥 따라 가 보았더니... 길 끝나는 곳에 고향이 있었습니다. 하늘 아래... 산 아래... 너무나도 정겨운 고향 마을이 말입니다. 실제로 보아야 하는데... 얼마나 인상적인 곳인지 모릅니다. 어릴적 뛰어놀던 외할머님 댁 그 산골짜기가 생각났습니다. 마음이 평온해 집니다. 고향을 생각하면... 우리 모두의 마음의 고향도 요즘은 이런 아련함으로 자리함을 느낍니다. 마음의 고향... 법계 모든 이들의 마음의 고향... 본래 마음의 고향 말입니다. 아! 고향으로 가고 싶습니다.

명상 리더쉽, 불교 리더쉽

제목을 다스린다고 했지만 어떻게 사람이 사람을 다스릴 수 있는가. 사람이 자연을 다스릴 수 없듯 사람이 사람을 다스릴 수는 없다. 물론 어리석은 생각으로 사람이 자연을 다스리고, 사람이 자연 위에 군림한다고 착각할지 모르지만, 현대 과학이 그 일을 해 내고 있다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그건 그야말로 우리들의 순전한 착각일 뿐이다. 오히려 자연이 우리를 다스렸다고 해야 옳을까? 자연은 우리에게 하나 하나 시비를 걸지 않고, 우리 사람들이 하는 일에 대해 좋다 싫다 분별하지 않는다. 이렇게 해라, 저렇게 해라 따지고 들지 않는다. 다만 그저 인간들의 일상을 지켜볼 뿐이다. 다스린다는 것은 그런 것이다. 다스린다는 것은 내가 하고 싶은 방향대로 이끌려고 애쓰는 것이 아니라, 내 맘대로 그 사람을 다스리는 기술을..

나를 낮추라. 하심 수행

나를 낮추고 하심(下心)하는 데서 나는 진정으로 한없이 높아짐을 알아야 합니다. 나를 내세우고 높이려고 애쓰는 것은 모든 이들에게 나는 정말 못난 놈이라고 드러내는 것과 다르지 않습니다. 우리가 가지고 있는 괴로움은 대부분 '나다'라고 하는 아상(我相)에서 오는 것임을 알고 있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습니다. 직장 상사에게 내가 욕을 얻어 먹으니 괴롭고, 내 여자 친구가 나를 떠나갔으니 괴롭고, 내 돈을 잃어버렸으니 괴롭고, 내 명예를 잃어 괴로움에 빠지는 것입니다. 이처럼 우리의 마음은 참으로 '나'라고 하는 것에 노예가 되어 있습니다. 본래 '나'라고 하는 것은 무아(無我)입니다. 다만 잠시 인연 따라 왔다가 인연이 흩어지면 가는 것이 '나'의 진정한 모습입니다. 나무 막대기와 판자라는 인(因)이 서로..

생활 속의 불교 수행, 그 실천이야기

그동안 우리들은 불교를 너무 어렵게만 생각하며 살았습니다. 몇 시간이고 앉아서 좌선 할 수 있어야 하고, 기도를 하기 위해 108배, 1080배, 3000배를 하기 위한 끈기가 있어야 했습니다. 대부분 육신을 혹사 시켜야 한다는, 아니면 정신을 혹사시켜야 한다는 '수행'에 대한 잘못된 고정관념을 가지고 불교를 너무 멀게만 느껴 왔던 것이 사실입니다. 이제 이러한 모든 분별심에서 자유로와 집시다. 모든 것을 텅 비우고 새롭게 '수행'을 쌓아 봅시다. 수행은 어렵다는 고정관념부터 놓아 버리시기 바랍니다. 특정한 사람들만이 하는 것이 수행이라는 편견도 비워 버리세요. 이제 법우님은 수행을 시작합니다. 수행은 언제나 '마음'에서부터 시작됩니다. 오직 바로 지금 내 안에 일어나는 마음을 가만히 바라보십시오. 항상..

두 가지 마음, 어떤 마음을 쓸 것인가

우리네 중생들의 마음은 두 가지 종류로 나누어 볼 수가 있을 것입니다. 그 첫째는 『상황 따라 변하는 마음』입니다. 이 마음이야말로 우리가 세상을 살아가며 항상 짊어지고 다니는 겉으로 드러난 마음의 모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환경, 조건, 경계에 따라 변하는 마음입니다. 그러면 왜 이 마음을 상황 따라 변하는 마음이라고 했겠습니까? 우리들 마음이 상황 따라 하루에 열 두 번도 넘게 변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봅시다. 직장에서 남편이 승진을 하였다면 얼마나 기쁘겠습니까. 빨리 가족들, 친척들에게 알리고 친구들과 축하 술도 한 잔 하고... 이것이 바로 극락 아니겠습니까. 그러나 남편이 기쁜 마음에 술을 한 잔 하고 집으로 오다가 교통사고가 나서 죽을 고비를 맞았다면 어떻겠습니까. 승진이고 ..

수능 백일기도, 인터넷으로 동참하기!

매미 소리며 풀벌레 소리, 새소리가 귓전을 시원하게 씻어주고 있습니다. 활짝 열려 진 창 밖으로 밤송이가 한창 익어가고 있네요. 밤송이는 아침 햇살을 받아 가시 끝이 반짝 반짝 윤이 나듯 빛나고 있습니다. 창 쪽으로 고개를 90도 돌리기만 하면 이 초록의 소리를 들을 수 있고, 방 안에 앉아 다른 일을 하다가도 문득 주의를 귀로 가져가 보면 그야말로 온갖 생명들의 오케스트라 합주가 요란하다 싶을 정도로 지저귐을 느낍니다. 이번 여름은 여느 때보다 분명히도 덜 덥습니다. 저의 거의 대부분의 시간을 창문을 활짝 열고 지내는데요, 그래서 자주 풀벌레며 나방들이며 모기들이 모기장 쳐진 창에 부딛쳐 들어오고 싶다고 애원을 해 대고는 있지만 그리고 때때로 아주 작은 것들은 성공을 하여 방 안을 자유로이 날아다니고 ..

벽을 깨고 삶에서 깨어나는 명상

방어벽을 허물고 삶을 받아들이라           - 벽을 깨고 삶에서 깨어나는 명상                                      - 목탁소리     삶은 고(苦)가 아니다 보통 일반적인 사람이라면 아마도 삶을 힘겹게 살아가면서 ‘아! 삶은 고통스러운 것이구나’라고 느끼며 살아가고 있지 않나 싶습니다. 우리들에게 삶은 힘들고 고된 괴로움의 연속처럼 보입니다. 불교에서도 일체개고라고 하여 ‘삶은 괴로움이다’ 이렇게 이야기를 합니다. 이러다 보니까 많은 사람들이 ‘세상은 원래 이렇게 힘든 곳이구나’ ‘누구나 이렇게 힘든 삶을 근근히 버텨내고 있는 것이겠지’ 하며 힘들고 괴롭게 살아가는데 아주 익숙해 있는 것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그러니까 우리는 삶이 고통스러운 것은 당연하다고 착각을 하..

나에 대한 의미있는 명상

우리가 흔히들 생각하는 '나'란 존재에 대해 명상을 해 보는 일은 매우 의미있는 작업입니다. 우린 모두 '나'란 틀에 갖혀 그 울타리 안에 있는 것만을 '나'라고 생각하며 살아가고 있기에 참으로 '나'를 그르치기 쉽습니다. 오늘 우리는 '나'에 대한 명상을 해 보기로 합니다. 물론 이것은 '너'에 대한 명상일수도 있으며 이 우주 전체에 대한 명상이 될 수도 있습니다. '나'를 포함한 일체모든 만유는 시간, 공간적으로 모든 것(一切)에 서로 서로 의지해 있다는 의미심장한 결론을 먼저 내려 두기로 합시다. 그리고 시간적인 면에서 바라본 '나'의 실상과 공간적인 면에서 바라본 '나'의 모습을 하나씩 살펴보는 것입니다. 먼저 시간적인 '나'의 생명을 명상 해 봅시다. 나를 낳게 해주신 어머님, 아버님 그리고 할..

외롭게 사는 즐거움

때때로 홀로 존재하고 싶은 깊은 속 뜰의 소리를 들을 때가 있다. 언젠가 나 홀로 떠나 그림자와 함께 여행하던 그 바닷가 외로운 포구, 혹은 저 홀로 울울창창 소리치며 그 깊은 산 우뚝 솟아 있던 한 그루의 소나무가 지독하게 보고 싶을 때가 있는 법이다. 그럴 때는 한 며칠 일도 다 때려 치고 내 행동 범위도 최소한의 것으로 한정시킨다. 사람들을 만나거나 아니면 핸드폰, 전화 벨 소리에 귀 기울이거나 행여 TV를 켜거나 신문 보는 것조차 번거로워 잠시 접어 둔다. 될 수 있다면 먹는 음식도 소박하면 좋겠고, 군것질도 끊고 나면 속이 비어 있어 더할 나위 없이 좋다. 그야말로 입에는 말이 적고, 마음에는 일이 적고, 뱃속에는 밥이 적을 수 있도록 스스로에게 배려한다. 그럴 때면 이른 새벽 뒷산 깊숙이까지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