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109 Page)
법상스님의 목탁소리

상주 대원정사 일요법회(13:30), 부산 목탁소리 토요법회(13:30)

상주 대원정사 일요법회(13:30) 부산 목탁소리 토요법회(13:30) 자세히보기

분류 전체보기 1286

오는 것 오게 하고, 가는 것 가게 하라

모든 것은 오고 간다. 올 때가 되면 오고, 갈 때가 되면 간다. 그것이 진리의 모습이다. 그러니 진리를 깨닫기 위해 수행자가 할 수 있는 일은 올 때는 오도록 갈 때는 가도록 그대로 놔두고 다만 지켜보기만 하는 것이다. 모든 온 것은 그리 오래 머물지 않는다. 잠시 왔다가 잠시 머물러 가야할 때 갈 것이다. 생각도 잠시 왔다가 가고, 인생도 잠시 왔다가 가고, 돈도 잠시 왔다가 가고, 명예도, 권력도, 지위도, 사랑도, 행복도, 성공도, 실패도, 나라는 존재 또한 그렇게 잠시 왔다가 갈 것이다. 모든 것은 올 때가 되면 왔다가 갈 때가 되면 간다. 오고 감을 거부하지 말고 받아들이라. 그저 내 존재 위를 스쳐 오고 가도록 그저 내버려 두라. 행복이 온다고 잡으려 애쓰지도 말고 행복이 간다고 붙잡으려 애..

드러냄, 참된 관계의 시작

대인관계의 핵심, 그것은 바로 나를 활짝 열어 보이는 데 있다. 나를 있는 그대로 드러낼 수 있는가. 그렇다면 깊은 관계는 시작될 수 있지만, 여전히 나를 숨기려 하고, 치장하려 하고, 모든 것을 보여 줄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면 그대의 모든 관계는 피상적일 수 밖에 없다. 피상적인 관계를 맺는 사람과 함께하는 것은 즐거움이 아닌 부담이고 괴로움이다. 그 사람 앞에서는 끊임없이 연극을 해야 한다. 연극에서 실수는 용납될 수 없다. 실수하지 않으려면 계속해서 힘을 주고 에너지를 쏟아야 한다. 그런 관계는 자연스럽지 못하다. 억지스럽고 에너지만 끊임없이 낭비 될 뿐이다. 겉으로는 웃고 있을 지 몰라도 그 깊은 속에서는 웃고 있는 것이 아니다. 우린 언제나 습관처럼 세상을 향해 웃고는 있지만 과연 그 웃음이 ..

부자가 되기를 포기하는 지혜

실제 수많은 민족지 조사 연구 결과 고대사회, 원시사회는 최초의 풍요사회였다. 그들 원시인들은 하루에 서너시간만 일하고도 먹고 남는, 연간 필요소비량 이상의 잉여를 생산했을 뿐만 아니라 남는 시간에 놀라울 정도로 다양한 문화활동을 발달시켰다. 원시사회는 생계경제가 아니라 풍요의 잉여경제였다. 그것도 잉여를 끔찍한 대규모 전쟁이나 쓰레기로 낭비하는 현대 산업문명과는 달리 잉여를 이웃 공동체와 서로 나누고 자연으로 돌려보내는, 최적의 생계순환형 경제를 운영하고 있었다. 오히려 자본주의 초기의 산업 프롤레타리아트야말로 생계경제에 허덕이고 있었으며 오늘날 한국의 대다수 노동자들과 농민들, 전세계 대다수 인민들이야말로 자본주의 시장경제의 침략 아래 생계경제에 허덕이고 있다. [왜 자립경제인가]박승옥 중에서... ..

현대 사회의 문제, 생명이 먼저다

모르긴 해도 벌써 아랫지방에서는 씨앗을 뿌리고 있을 것 같다. 한 2-3주만 지나면 이 곳에서도 씨앗을 뿌리고 한 해의 농사일을 시작하게 될 것이다. 지난 가을부터 겨우내 조금 조금씩 일구어 놓은 도무지 밭 같지 않은 야생의 밭이 이제 새봄을 기다리고 새로운 생명의 움틈을 기다리고 있다. 벌써부터 설레는 마음에 하루에도 몇 번이고 밭을 찾는다. 물론 말이 밭이고, 내 생각에서나 밭이지 다른 사람들은 아마 아무도 그런 생각에 동의하지 않을것이다. 남들 보기에는 아무 일도 없었던 그냥 야생의 땅일 뿐일테니까. 칡이 크고 작은 나무들을 타고 올라가서 오랜 세월 그 아래 나무들을 다 죽여 놓았고 작년 처음 이 도량에 왔을 때는 이미 칡들의 세상이 되어 있던 곳이니까. 나 또한 그 때는 이 곳을 밭으로 쓸 생각을..

정신없는 삶의 속도를 멈추라

[오대산 적멸보궁이 올려다 보이는 겨울숲에서 한참을 바라보며 서 있었습니다. 겨울숲의 또다른 아름다움이 내 안으로 포근히 들어와 안깁니다.] 한여름 짙은 녹음으로 화사한 꽃과 열매를 틔우던 산숲도 단풍으로 막바지 제 몫을 해내고는 후두둑 후두둑 다 떨어져버렸다. 숲은 또 다시 침묵의 시간이다. 봄부터 가을까지 한껏 피어오르던 숲은 이제 모든 집착과 욕망을 다 떨쳐버리고 무거운 침묵으로 내적인 자기 수련의 길을 걷는다. 한겨울 숲의 침묵이 없다면 봄이 오더라도 새로운 꽃을 피워내지 못할 것이다. 사람의 일도 마찬가지. 삶의 길 위에서 한참 물이 오르며 꽃망울을 틔우고 훨훨 날갯짓할 때가 있어야 하겠지만, 이따금 침묵으로 안을 비추는 내적인 자기 수련의 시간이 필요하다. 한창 잘 나갈 때가 있으면 그것을 끝..

산사의 바람소리를 듣고싶다

부처님 오신날을 맞이하면 서 이 작은 마을에서도 소박하지만 생기로운 불탄 의 잔치가 벌어졌다. 손끝을 빨갛게 물들이면 서 연등도 만들어 달고, 한 달여에 걸쳐 장엄물도 몇 가지 선 보여 마을 제등행렬과 연등축제 의 장을 열고 북녘땅이 바라다 보이는 산위에 부처님 오심을 알리는 봉 축 점등식도 치루었다. 연중 이맘때가 절집에서는 가장 바쁘고 활기찰 때다보니 자칫 몸과 마음이 행사를 위한 행사에 휘둘려 내면의 자취를 놓치고 살 기 쉬운 때이기도 하다. 법요식이 끝나고 가만히 되돌아 보면서 나에게 있어 불탄의 의미 가 무엇인지 스스로 물어보지 않을 수 없다. 그렇게 내 안에 물음을 던 지고 나면 조용히 내면의 뜰을 거닐 기 위해 어디론가 떠나고 싶어질 때가 있다. 아마도 동안의 바쁜 일정 에 치여 밋밋해지고 ..

금강경 2분 선현기청분 강의

금강경과 마음공부 지은이 법상 상세보기 금강경과 마음공부(보급판) 카테고리 종교 지은이 법상 (무한, 2008년) 상세보기 제 2, 선현기청분 수보리가 가르침을 청함. 善現起請分 第二 時 長老須菩提 在大衆中 卽從座起 偏袒右肩 右膝着地 合掌恭敬 而白佛言 希有世尊 如來 善護念諸菩薩 善付囑諸菩薩 世尊 善男子善女人 發阿뇩多羅三먁三菩提心 應云何住 云何降伏其心 佛言 善哉善哉 須菩提 如汝所說 如來 善護念諸菩薩 善付囑諸菩薩 汝今諦請 當爲汝說 善男子善女人 發阿뇩多羅三먁三菩提心 應如是住 如是降伏其心 唯然 世尊 願樂欲聞 그때 장로 수보리가 대중과 함께 있다가 자리에서 일어나 한 쪽 어깨에 가사를 수하고 오른쪽 무릎을 땅에 대고 공경스럽게 두 손 모아 합장하여 예를 올렸다. 그리고는 부처님께 이렇게 여쭈었다. "경이롭습니다...

금강경 1분 법회인유분 강의

금강경과 마음공부 카테고리 종교 지은이 법상 (무한, 2007년) 상세보기 금강경과 마음공부(보급판) 지은이 법상 상세보기 제 1, 법회인유분 법회가 열리게 된 연유 法會因由分 第一 如是我聞 一時 佛 在舍衛國 祇樹給孤獨園 與大比丘衆千二百五十人 俱 爾時 世尊 食時 着衣持鉢 入舍衛大城 乞食於其城中 次第乞已 還至本處 飯食訖 收衣鉢 洗足已 敷座而坐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 때 부처님께서는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서 1250인의 큰 비구 스님들과 함께 계셨다. 그 때 부처님께서는 공양 시간이 되자, 가사와 발우를 수하시고 사위성에 들어가시어 차례대로 탁발을 하신 다음 본래 계시던 곳으로 돌아오셔서 공양을 하셨다. 공양을 마치시고는 가사와 발우를 제자리에 놓으시고 발을 씻으신 다음 자리를 펴고 앉으셨다. (가부좌를..

선행과 악행 - 법구경 17, 18게송

17. 악한 짓을 한 사람은 이생과 내생에서 괴로워한다. 이생에서 ‘악한 짓을 했구나’ 하고 괴로워하며 내생에서 지옥에 떨어져 그 괴로움은 더욱 커진다. 18. 착한 일을 한 사람은 이생과 내생에서 기뻐한다. 이생에서 ‘착한 일을 했구나’ 하고 기뻐하며 내생에서 좋은 곳으로 가고 그 기쁨은 더욱 커진다. 한 번 악행을 하고 나면 그 악행은 업습(業習)으로 자리잡는다. 업이 되어 언젠가 갚음인 보(報)를 가져오지만, 보를 가져 오기 이전에 습(習)으로 먼저 자리잡으면서 나를 따라다닌다. 한 번 악행을 하면 그것은 악한 습, 악한 습관의 흔적을 남긴다. 습관이라는 것이 한 번 할 때는 어려워도 한 번 습관이 들고 나면 그 다음부터는 저절로 그 습관대로 행동하게 되지 않는가. 악행이 바로 그렇다. 악행의 습은..

선의 업과 습관 - 법구경 15, 16게송

15. 악한 짓을 한 사람은 이생과 내생에서 근심한다. 그는 두 생에서 모두 근심 걱정한다. 악행은 늘 그를 따라다니며 괴롭힌다. 16. 선한 일을 한 사람은 이생과 내생에서 기뻐한다. 그는 두 생에서 모두 기뻐한다. 선행은 늘 그를 따라다니며 평안을 준다. 악을 행하면 악의 흔적이 남고 악의 업장이 남고 악의 습관이 남는다. 악한 행위는 사라지지 않고 내 안에 악의 기운을 남기게 된다. 그렇기에 악을 행하게 되면 내 안에 악의 기억과 악의 습관이 남아 있으므로 그 다음에도 선보다 악을 행할 확률이 높아진다. 한 번 해 본 것은 그 다음에는 더 쉽기 때문이다. 더 쉽고 때로는 자동적으로 그렇게 튀어나온다. 똑같은 상황에서 선으로 반응을 하거나 악으로 반응을 하는 것은 내 의지이지만, 한 번 반응한 것은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