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4 Page)
법상스님의 목탁소리

상주 대원정사 일요법회(13:30), 부산 목탁소리 토요법회(13:30)

상주 대원정사 일요법회(13:30) 부산 목탁소리 토요법회(13:30) 자세히보기

분류 전체보기 1285

나는 무엇인가

우리가 '나'라고 말할 때, 그 나라는 이미지, 개념, 아상, 에고가 생겨날 때, 그 때는 늘 과거나 미래를 생각할 때 뿐이다. 과거나 미래에 기대어서만 '나라는 생각'은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나는 누구인가? 이 말에 대답하려면, 내가 과거에 했던 수많은 행적들을 뒤적인 뒤에, 그런 과거의 나를 종합하여 나는 이런 사람이라고 결론을 낸다. 이처럼 '나'라는 상, 아상은 과거를 통해 만들어진다. 혹은 미래에 어떤 내가 될 것인지를 꿈꾸며 그런 '나'를 만들어 내기도 한다. 그러면 과거와 미래를 전혀 생각하고 있지 않을 때, 그 때 나는 누구일까? 나는 무엇일까? 과연 어디에서 나를 찾을 수 있을까? 지금 여기라는 현재에 존재할 때, 그 때 나는 누구인가? 과거 기억을 통해 내가 누구인지를 기억하지 ..

바른 수행이란?

부산에 오니 다라니기도가 한동안 붐이였다고 하더군요. 어느 절이든 다라니기도를 안 하는 절이 없고, 다라니 기도만 하면 어지간한 소원도 다 이룰 수 있고, 병도 치유할 수 있고, 그야말로 만병통치약처럼 통용되고 있더군요. 한 보살님이 찾아와서 말합니다. 다라니기도를 몇 만 독을 했는데, 도대체 얼마나 더 해야 이 병이 낫겠는지, 하루에 몇 독 정도를 해야하는지를 묻더군요. 그러면서 누가 그러는데, 자신의 병이 나으려면, 또 좋은 의시를 만나려면 다라니기도를 하면 된다고 했다고 합니다. 다라니기도만 하면 이렇게 만사형통할 수 있을까요? 이것이 전형적인 기복신앙입니다. 물론, 이렇게 말하면 발끈하는 사람도 많을거에요. 그렇게 하면, 취사간택하는 것이 아닙니까? 자신이 원하는 것을 정해놓고, 그것을 취하고, ..

주말이나 저녁을 보내는 방법

주말이나 평일 저녁 시간을 어떻게 보내시는지요? 평일 낮 시간에는 아이도, 아빠도, 엄마도 모두가 바쁜 일과를 보낼 것입니다. 그리고 주말이나 평일 저녁이면 모두가 한 자리에 앉아 밥도 먹고 대화도 나누고 TV도 보면서 시간을 보내겠지요. 사실 우리의 삶에서 정말 중요한 때는 바로 이러한 휴식과 쉼의 순간입니다. 전날 밤 얼마나 달콤한 잠을 푹 잤느냐에 따라 그 다음날의 컨디션이 좌우되는 것처럼, 쉬는 날 얼마나 잘 쉬었느냐에 따라 우리의 몸도 정신도 본래적인 복원력이 회복됩니다. 그런데 요즘에 가만히 살펴보면 쉬는 것이 쉬는 게 아니고, 오히려 휴식한다고 하면서 더 많은 복잡한 망상만 피우는 것은 아닌지 싶을 때가 있습니다. 우리는 쉬는 날에 주로 누워서 빈둥거리거나, 각자 스마트폰을 만지작거리고 있거..

괴로운가요? 풀리지 않는 고민이 있나요?

지금 괴로우신가요? 외로운가요? 풀리지 않는 고민이 있나요? 만약 그렇다면, 지금까지 당신은 그 문제를 풀기 위해서, 그 괴로움을 해결하기 위해서, 그 외로움을 없애기 위해서 온갖 노력을 다해왔을 것입니다. 그런데, 바로 그 점, 그 괴로움, 외로움, 문제를 풀려고 애써왔던 바로 그 마음 때문에 문제는 더욱 더 심화되고, 그 괴로움을 해결할 수 없었다면 믿어지시나요? 예, 정말로 그렇습니다. 지금 일어나고 있는 것은, 그대로 실상입니다. 진리는 언제나 지금 여기에서 이렇게 있습니다. 바로 그 괴로움의 모습으로, 외로움과 답답함의 모습으로 실상이, 진실이 드러나 있는 것입니다. 그 괴로움은, 그 현실은 바로 진실로써 찾아온 것이지요. 제법실상이고, 촉목보리입니다. 그러니 그 문제가 곧 답입니다. 그 문제,..

그냥 내버려두면, 모든 것은 저절로 수용됩니다

삶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라고 하니, 어떤 분은 수용하고 받아들이려고 애쓰고 노력을 하더군요. 혹은 수용하고, 받아들인다는 것을 자신의 수행으로 삼고, 삶의 지침으로 삼아 실천하려고 애씁니다. 이것은 수용, 받아들임에 집착하는 것이고, 의지하는 것이며, 수용한다는 상에 얽매이는 것입니다. 이 말도 하나의 방편일 뿐인데요, 그저 있는 그대로를 있는 그대로 보고, 있는 그대로 내버려두고, 허용해 주라는 말입니다. 제가 지금 최대한 덜 유위적이고, 인위적이며, 덜 애씀이 개입되는 말을 쓰려고 하는데요, 사실 말은 전부 방편이라 허물이 없을 수가 없습니다. 진실을 있는 그대로 100% 담을 수 없습니다. 모든 말은 그 말의 낙처를 보아야지 그 말을 붙잡아서는 안 되는 것이지요. 수용하고 받아들인다는 것은, 그러..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