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114 Page)
법상스님의 목탁소리

상주 대원정사 일요법회(13:30), 부산 목탁소리 토요법회(13:30)

상주 대원정사 일요법회(13:30) 부산 목탁소리 토요법회(13:30) 자세히보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271

집착을 버리는 것, 그것이 우리가 해야 할 전부다

hpDZfPGLshppTMnffi1nI0qa8i3 무언가를 나누어 주거나 또 무언가를 받을 때, 참 기분이 좋다. 줄 때도 기분이 좋고, 받을 때도 기분이 좋다. 그런데 주었을 때 좋은 기분하고 받았을 때 좋은 기분은 좀 다르다. 주었을 때 기분이 좋은 이유는 무얼까. 무언가를 주게 되면 ‘내 것’이 소멸되기 때문에 괴로워야 할텐데 좋은 것은 무엇때문인가. 그것은 우리 안의 참나, 다시 말해 온 우주 법계의 참성품이 둘이 아닌 하나로써, 대아(大我)로써 존재하기 때문이다. 주는 자도 받는 자도 주는 것 또한 모두가 하나의 성품이니까 무엇을 주고 받고도 없이 그냥 좋은 것이다. 즉 주었을 때 좋은 기분은 가만히 살펴보면 근원적인 기쁨이라고 할 수 있고, 받았을 때 좋은 기분은 보통 세간적인 기쁨이라고 할 ..

완전히 새로운 나를 만난다

어제의 나는 내가 아니다. 어제의 내가 시간이 흐름으로써 오늘의 내가 되었고, 10년 전의 어릴 적 내가 세월이 흘러 성장한 어른이 되었다는 것은 순전한 어리석음이고 착각에 불과하다. 어제의 나는 그저 어제의 나일 뿐이고, 오늘의 나는 그저 독자적인 오늘의 나일 뿐이다. 어제의 내가 변해 오늘의 내가 된 것이 아니라, 어제의 나는 어제의 나로써 존재했고, 오늘의 나는 오늘의 나로써 전혀 새롭게 존재한다. 조금 전의 나는 내가 아니다. 그저 ‘지금 이 순간’ 찰나로 존재하는 내가 있을 뿐이다. 조금 전의 나라는 존재와 지금 이 순간의 나라는 존재는 전혀 다른 존재다. 물론 이것을 보는 데는 두 가지 시선이 있을 수 있다. 지금의 나에서 어제의 나를 보고 10년 전의 나를 볼 수도 있다. 그러나 그것은 연기..

힘 있는 대장부로 살라

수행자는 힘이 있습니다. 내면의 힘이 당당하게 버티고 있기 때문에 삶의 그 어떤 경계라도 쉽게 수행자를 뒤흔들 수 없습니다. 입시철이 다가오거나, 진급철이 다가오거나, 이런 저런 어려운 일이 닥치면 백일 기도다 뭐다 해서 열심히 기도하시는 분들이 봅니다. 이런 때를 계기로 진실된 마음 내어 기도를 하는 것은 참 좋은 일입니다. 그런 세속적인 바램(욕망)들로 인해 마음 공부를 할 수 있는 인연이 되기 때문이지요. 그렇다고 하더라도 우리는 그런 기도의 의미를 명확히 알고 있어야 할 것입니다. 입시기도나, 진급기도 같은 기도는 그 목적이 '합격'이나 '진급'에 있지 않습니다. 이 사실을 명확히 하고 정진을 시작해야 하는 것입니다. 대부분 사람들은 입시기도나 진급기도를 할 때 합격하기 위해서, 진급하기 위해서 ..

그냥 이대로 푹 쉬라

무엇을 하면서 있는 것이라거나, 무엇을 위해 있는 것이라거나, 왜 있다거나, 어떻게 있다거나, 어느 자리에 있다거나, 어느 때에 있다거나 그런 것 말고 그~냥 그~냥 아무 이유 없이 그냥 있을 수 있습니다. 우린 모두 지금 이 자리에 그냥 이렇게 있지 않아요. 그냥 그거면 충분한 겁니다. 자꾸 더 이상을 바라지 마세요. 이유를 붙이지도 말고, 잡다한 것은 그냥 놓아버리고 그냥 이렇게 있어 보세요. 무엇을 하면서 있지 말고, 무엇을 꿈꾸지도 마세요. 보거나, 듣거나, 냄새 맡거나, 맛 보거나 감촉을 느끼거나, 생각을 일으키거나 그러지 않더라도 우리의 내면은 충분하니까요. 세상이 바빠졌다고 나까지 바빠질 필요는 없습니다. 세상이 번잡스러워 지다 보니 또 그 속에 너무 익숙해 지다 보니, 평온과 고요한 침묵을..

백일기도,수행빼먹으면

문 : 백일 절 수행의 회향을 앞두고 있습니다. 백일기도 회향을 하고 나면 무언가 달라지는 게 있고, 성취되는 것이 있으리라는 막연한 기대감이 있습니다. 그런데 어느 정도 마음이 편안해지는 것은 있지만, 눈에 보일 만한 성취는 아닙니다. 제가 수행을 잘못해서 그런가요? 이런 수행도 공덕이 있을까요? 답 : 아무리 작은 수행일지라도 바로 그 수행의 한 순간이, 우리의 절 한 배 한 배가 고스란히 이 세상 곳곳으로 향기롭게 퍼져갈 것입니다. 바로 그 한 순간의 수행을 무시해서는 안 됩니다. 어쩌면 그 백일기도가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더라도 내 안에 수미산보다 더 높은 업장을 소멸시켜 주었을지도 모릅니다. 어쩌면 지금쯤 있을 큰 사고가 수행 때문에 사라졌을 수도 있고, 어쩌면 내일 오게 될 큰 병이 가볍게 내..

원력, 묵언, 불성 - 법상스님 즉문즉답

죽기 전까지 매일 108배 수행은 꼭 해야겠다는 원을 세우고 절 수행을 시작하고 있습니다. 관세음보살 염불을 하며 절을 하는데요, 입은 염불을 하는데 마음은 따로 노는 것 같습니다. 진지한 절이 안 되는 것 같고 집중도 안 되고, 하고 나면 뭔가 허전하고 성취감이나 수행을 통한 환희심 같은것도 잘 느껴지지 않습니다. 원이 간절하지 못해 그런가요? 그냥 절을 할 뿐입니다. 절 하는데 이유를 달지 말고 하세요. 절하고 나면 어떠해야 한다고 하는, 절 수행을 하면 마음이 어떠해야 한다고 하는 그런 마음 그냥 다 놓아버리고 ‘오직 절 할 뿐’ 이 되도록 하세요. 절 수행은 어떠해야 한다고 하는 마음속에서의 막연한 기대감을 놓아버리세요. 절 수행을 하고 나면 어떻게 달라져야 한다고 하는 마음도 놓으세요. 절 하면..

수행으로 탐욕을 이기라 - 법구경 13,14게송

13. 지붕이 허술하면 비가 새듯이 수행하지 않는 마음에 탐욕이 스며든다. 14. 지붕이 튼튼하면 비가 새지 않듯이 수행이 잘 된 마음에는 탐욕이 스며들지 못한다. 탐욕이야말로 모든 사람들에게 있어 가장 달콤하며 동시에 가장 두려운 경계다. 탐욕이 올라오지 않는 사람이 있으랴. 누구든 탐욕을 먹고 자란다. 끊임없이 올라오는 탐욕을 끊임없이 채워 나가는 것, 그것이 바로 우리들 삶이다. 태어나서 죽을 때 까지 우리의 삶을 가만히 돌아보면 탐욕을 만들어내고 그 탐욕을 채워나가고, 탐욕을 채우지 못해 좌절하거나, 탐욕을 채움으로써 행복해 하거나, 채우고 난 탐욕 뒤에 더 큰 탐욕을 만들어내는 이 끊임없는 탐욕의 연장이다. 그런데 이 탐욕이라는 것은 끊임없이 또 다른 탐욕을 먹고 자란다. 탐욕한 것을 얻고 나면..

진실과 거짓을 바로 알라 - 법구경 11,12게송

11. 거짓을 진실이라 생각하고 진실을 거짓이라 생각하는 사람은 그릇된 소견에 빠져 있기 때문에 끝내 진실에 이를 수 없다. 12. 거짓을 거짓인 줄 알고 진실을 진실이라 바로 아는 사람은 이러한 올바른 견해로 인해 마침내 진실한 깨달음에 이를 수 있다. 사람들은 누구나 자기만의 생각에 빠져 산다. 자기만의 가치관이나 세계관이나 진리관을 정해 놓고 그 밖을 엿볼 생각 없이 오로지 자기 생각이 옳다는 확신 속에서 살곤 한다. 하지만 분명한 사실 한 가지는 지금 내가 옳다고 생각하는, 진리라고 생각하는 그 사실 바로 그 사실이 진실이 아닐 수도 있다는 점이다. 어떻게 확신할 수 있는가. 모든 생각이나 견해는 여기 저기에서 끌어모아 내 것으로 채택하여 받아들인 것들일 뿐이다. 그리고 그렇게 끌어모아 내 생각인..

수행자의 옷 - 법구경 9,10게송

9. 마음에 번뇌가 많아 청정하지 못하고 무모한 욕심으로 자기를 다스리지도 못하면서 노란색 가사를 입으려는 자여, 그대는 수행자의 가사를 입을 자격이 없다. 10. 번뇌에서 벗어나 마음이 청정하고 계율을 지켜 절제됨이 있으며 감관을 잘 다스려 진실을 말하는 사람, 그대야말로 수행자의 노란색 가사가 어울리는 자다. 수행자의 옷, 가사는 일반인들이 보기에 아주 매력적이고도 신비스러운 분위기를 자아내게 한다. 가사와 장삼을 수하고, 파르라니 머리를 깎고 앉아 있는 스님은 그 자체만으로도 우리 마음 속에 존경과 혹은 동경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회색 두루마기를 걸치고 걸망 하나 메고 만행을 떠나는 스님들의 뒷모습은 자유로움과 평화로움을 찾는 이들의 대명사처럼 되고 있다. 그러나 여기에도 함정은 있다. 사람들은 ..

이와 같이 정진하라 - 법구경 7,8게송

7. 쾌락만을 추구하고 다섯 가지 감각의 욕망을 다스리지 않으며 음식의 때와 양에 절제가 없고 게을러 정진하지 않는다면 온갖 삿된 마장에 휘둘려 마침내 쓰러진다. 바람이 연약한 나무를 쓰러뜨리듯이. 8. 쾌락을 추구하지 않고 다섯 가지 감각의 욕망을 잘 다스리며 음식의 때와 양에 절제가 있고 굳은 믿음으로 힘써 정진하면 그 어떤 삿된 마장에도 휘둘리지 않는다. 큰 바위산을 바람이 휘두를 수 없듯이. 수행자의 삶은 어떠해야 하는가. 여기 모든 수행자가 반드시 지켜야 할 정진의 덕목이 있다. 먼저 이 게송이 나오게 된 연유를 살펴보자. 부처님 당시에 두 형제가 있었다. 형은 수행자다운 위의와 신념과 정진이 투철했지만 동생은 성실히 수행하기는커녕 오히려 형을 속세로 환속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뒤따라 출가를 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