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공부 생활수행' 카테고리의 글 목록 (46 Page)
법상스님의 목탁소리

상주 대원정사 일요법회(13:30), 부산 목탁소리 토요법회(13:30)

상주 대원정사 일요법회(13:30) 부산 목탁소리 토요법회(13:30) 자세히보기
반응형

마음공부 생활수행 454

죽음을 준비하자

[때늦은 5월, 동백의 낙화...] 우리의 삶에 있어 가장 큰 괴로움은 역시 '죽음'일 것입니다. 어떤 사람이 죽음 앞에서 자유로울 수 있을까요. 그러나 반야심경에서는 불생불멸(不生不滅)이라 하여 생하고 멸하는 것 또한 본래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불생불멸이란, 태어남과 죽음, 만들어짐과 사라짐의 양극단을 부정한 것입니다. 일체의 모든 존재는 연기의 법칙에 의해 인과 연이 화합하면 만들어지는 것이며(生), 이 인연이 다하면 스스로 사라지는 것(死)일 뿐입니다. 예컨대, 나무와 나무가 있다고 했을 때 이 나무(因)와 나무[因]를 인위적으로 비벼줌[緣]으로써 불[果]을 얻을 수 있으며 우리는 따뜻함(報)을 얻을 수 있게 됩니다. 본래 나무와 나무 사이에 불이 있던 것이 아니며, 공기 중에..

기도하기 힘들 때는

생활을 수행으로 바꾸고자 하는 초심 수행자들이 종종 '기도'에 얽매이는 경우를 봅니다. 삶을 되돌아 보며 이따금 명상을 해 보고도 싶고 절에 가서 기도에 동참해 보고도 싶으며, 때로는 수련회에 참여해 자신을 찾고자 노력도 해 봅니다. 그러나 일과 수행 일상과 수행자의 삶이란 언제나 마음 먹은대로 되어지지만은 않는 법입니다. 놀고 흥청이던 이전의 오랜 습(習)들이 고요해지고자 하는 수행심을 방해하기 일수입니다. 그래서 많은 이들은 집에서 기도를 하고자 합니다. 108배도 해 보고, 금강경도 독경해 보고, 아침 저녁으로 예불이며 참선도 해 보고 그럽니다. 그렇지만 마음처럼 쉽지 않습니다. 굳게 마음먹었던 108배며, 금강경 독경이 첫 날 마음 같지 않고 절에서의 마음 같지 않게 왜 그리 길게 느껴지고 힘겹게..

연기법의 생활실천

[신라 아도화상이 세운 절 김천의 황악산 직지사, 절안의 오랜 소나무의 운치하며 깊은 계곡 맑은 물소리가 항상 맑게 들리는 절입니다. 경내에 나무가 참 많고 도량이 깨끗하기로 유명, 직지사는 전 대중스님들이 운력을 중시하기로 소문났지요. 아침 공양이 끝나면 모든 스님들이 나와 도량에서 운력하는 모습이 인상적입니다.] 불교의 기본 사상은 연기법(緣起法)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연기법은 단순하게 사상으로만 그치는 허울좋은 관념이 아닙니다. 거기에는 철저한 실천이 뒤따라야 합니다. 실천이 뒤따르지 않는 연기법은 죽은 사상이지 살아 숨쉬는 생생한 진리라고 할 수 없습니다. 불자라고 한다면 연기법을 믿는 이라고 해도 좋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렇게 보았을 때 우리 주위엔 참 겉보기만 불자인 사람이 참 많은 듯 합니다..

연극처럼 살라

우리의 인생은 한바탕 신나는 연극이라 할 수 있습니다. 우리들 각자는 이 연극의 주인공이고 작가이고 감독입니다. 연극의 주인공은 그 연극의 대사가 슬프다고 실제로 슬퍼하고 그 대사가 즐겁다고 실제로 즐거워하지는 않는 법입니다. 연극이라는 것은 실제상황이 아닌 비실체적인 것을 알기에 그 속에서 회사가 부도가 나든, 애인에게 버림을 받든, 직장 상사에게 비난을 받든 사람들에게 심한 욕을 듣든 아니 그 이상의 괴로움 속에서도 겉으로 드러난 괴로운 표정 연극은 할 지언정 실제 참된 주인공은 흔들려서 괴로워하는 일이 없습니다. 마찬가지로 아무리 즐거워도 크게 즐거움에 노예가 되어버리지는 않습니다. 어차피 연극인줄 알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인생도 이러한 연극과 같이 비실체적인 것이기에 인생 속에서의 온갖 괴로움에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