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오온과 오온무아
앞 장에서 삼법인의 제법무아를 살펴보면서, 무아야말로 초기불교의 가장 중요한 가르침이며, 무아는 곧 연기, 중도, 공과 다르지 않은 개념이라고 했다. 부처님께서는 전 생애에 걸쳐 이 무아의 가르침을 쉽게 이해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편의 가르침을 전해주셨다. 그 가운데 하나가 바로 오온의 가르침이다. 내가 없다고 하는데 도대체 왜 내가 없다는 말인가? 이렇게 몸뚱이도 있고, 생각하고, 느끼고, 의도하며, 의식하는 마음도 분명히 있는데 왜 무아라고 하셨을까? 바로 그 답변으로 설하신 가르침이 오온이다.
무조건 ‘내가 없다’, 무아다 라고 말하시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나’라고 생각하는 것이 세부적으로 분석해 보면 어떤 요소들로 나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그 각각의 부분들이 왜 실체가 없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나를 구성하고 있는 다섯 가지의 요소들이 각각 모두 비실체적이며, 텅 빈 공허한 것이라면 그 다섯 가지가 조합된 ‘나’라는 존재 또한 무아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사실 무아라는 말은 독립적으로 쓰이지 않고 오온무아라는 의미로 쓰일 뿐이다. 삼법인의 무상, 무아, 고는 부파불교 시대에 그렇게 조직화 시킨 것일 뿐, 사실 무아는 오온무아를 의미하는 것이다.
오온의 각각의 의미를 살펴보고, 오온의 각 온들이 왜 실체가 없는 무아인지를 살펴보게 된다면, 그 비실체적인 다섯 가지가 쌓여 이루어진 우리 존재 또한 무아임이 드러날 것이다. 이 장에서는 먼저 오온의 의미에 대해 살펴 보고, 그 오온의 각 온들이 왜 고정된 실체적 존재가 아닌 무아인지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자.
(1) 색온과 색온무아
색온의 의미
우리가 ‘존재한다’, 혹은 ‘있다’고 여기는 것들은 크게 물질적인 것과 정신적인 것으로 나눌 수 있다. 그 가운데 물질적인 것을 ‘색온’이라고 부른다. ‘온’은 쌓임, 집합, 존재를 구성하는 요소 등의 의미로 쓰인다. ‘색’은 보통 모양과 형태를 갖춘 것을 의미한다. 즉, 색온이란 이 세상을 이루고 있는 물질의 총체를 말한다. 오취온이라는 인간을 한정해서 말한다면 색은 우리의 육신을 말하며, 구체적으로는 눈, 귀, 코, 혀, 몸을 색이라고 한다. 바깥 대상 중에는 안이비설신의 대상인 색성향미촉 또한 색이다.
물질은 사대(四大) 즉 네 가지 요소로 이루어 져 있으며, 지수화풍(地水火風)을 말한다. 우리 몸으로써의 색은 내사대(內四大), 외부 대상의 색은 외사대(外四大)라고 부르기도 한다.
지수화풍 사대는 땅, 물, 불, 바람의 요소를 말한다.
땅의 요소인 지대(地大)는 딱딱한 성질의 물질로써 변형되는 성질을 가진 것으로 우리 몸에서는 피부, 뼈, 머리카락, 손발톱, 심장 등 우리 몸을 구성하고 있는 여러 기관들이나 딱딱한 구성요소들을 뜻한다.
물의 요소인 수대(水碓)는 흐르거나 적시는 성질을 가진 액체 부분으로써 우리 몸에는 피, 오줌, 침 등을 말한다.
화의 요소인 화대(火大)는 뜨거운 열의 기운을 말하는 것으로 우리 몸의 체온을 말하며, 우리가 살아 있기 위해서는 일정한 체온이 유지되어야 하듯 화대 또한 우리 몸을 유지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풍의 요소인 풍대(風大)는 움직이는 성질의 것으로 우리 몸에서는 호흡, 혈액의 움직임, 가스 등을 말하며, 우리 몸이 움직이는 것은 모두 바람의 요소가 작용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지수화풍 네 가지 요소로 이루어진 우리의 육신을 색온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색온을 구성하고 있는 지수화풍은 낱낱의 요소들이 고정된 실체적 존재는 아니다. 그것들은 다만 인연 따라 내 육식을 만들었을 뿐이다. 우리가 아침에 먹은 음식이 땅의 요소가 되고, 마신 물과 음료 등이 물의 요소가 되며, 움직이고 운동을 할 때 화의 요소가 모이고, 숨을 쉬거나 움직일 때 풍의 요소가 인연 따라 모이고 흩어지는 것일 뿐이다.
그렇기에 네 가지 요소로 이루어진 색온, 즉 육신 또한 고정된 실체적 존재가 아니다. 육신이라는 내사대도, 세계인 외사대도 모두가 인연 따라 만들어진 가합의 존재일 뿐, 고정된 실체는 아니다. 이 육신이 ‘나’라는 착각이 어리석은 중생들이 생각하는 색온의 모습이다.
외도들의 요소설을 보면 똑같이 물질을 구성하는 요소로써 사대를 설하고 있지만, 그것이 불교의 사대와 다른 점은 바로 여기에 있다. 외도에서 말하는 사대는 물질을 구성하는 상주불변의 실체적 요소이지만, 불교에서 말하는 사대는 인연 따라 생겨난 것일 뿐, 그 어떤 실체도 없는 것이다.
색온무아의 과학적 증명
현대과학에서도 우리 몸의 최소의 구성요소는 결국 존재하지 않음을 밝혀내고 있다. 물질의 구성요소를 나누어 보면, 분자에서 원자로 또 양자, 중성자, 전자로 나뉘며, 결국 소립자로 나누어 진다. 그런데 이러한 입자는 질량과 무게가 있어야 하는데, 소립자는 어떤 상태에서는 무게를 가지다가 어떤 상태에서는 무게 없이 사라진다. 인연 따라 있기도 하다가 없기도 하는 것이다. 측정 장치와 관찰자의 인지상태에 따라 관찰 결과는 달라지는 것이다. 관찰자의 마음에 따라 입자가 되었다가 파동이 되고, 있다가 없어지는 것이다. 물질도 결국 마음에서 인연 따라 연기한 것임을 밝혀주고 있는 것이다. 물질, 즉 육신이 실체하는 것이라고 우리는 착각하고 있지만, 사실은 그 또한 우리 마음에서 연기한 것일 뿐이다.
그 뿐이 아니다. 원자의 구조를 놓고 보더라도, 물질의 미시적인 구조는 거의가 비어 있는 상태로 있음이 밝혀졌다. 원자핵 주위를 전자가 돌고 있는데 그 상태는, 콩알 만한 원자핵 주위를 먼지 보다 더 작은 전자가 월드컵 경기장 만한 큰 공간을 돌아다니고 있다고 생각해 보라. 원자는 99,999%가 다 비어있으며, 0.0001%도 안 되는 전자와 양자만이 공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그 전자와 양자 또한 나누어 보면 결국 최소 구성요소라는 실체적 알갱이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렇게 보면 우리가 손으로 상대방의 몸을 누르면 그 안으로 손이 들어갈 수 있어야 하는데 못 하는 이유는 바로 전자와 전자가 마이너스끼리 접근하면서 전기적인 반발력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즉 99.999%가 다 텅 비어 있는 육신이지만 반발력 때문에 딱딱하다고 느끼는 것일 뿐이다. 쉽게 말하면, 텅 비어 있는 육신을 우리는 특정 에너지, 특정 인연 때문에 실체적으로 존재한다고 착각하고 있을 뿐인 것이다.
이와 같이 색온이라는 것, 우리 육신, 몸이라는 것은 텅 비어 있으며, 실체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다만 우리의 의식에서만 ‘있다’라는 착각을 하는 것일 뿐이다. ‘있다’라는 착각은 바로 관찰자의 인지상태라는 인연에 따라 소립자가 있는 것처럼 꾸며내기 때문인 것이다.
육신이 ‘나’라는 착각이 고를 만든다
이렇게 육신은 사실 텅 비어 있어 고정된 실체가 아니지만 우리는 육신을 보고 ‘나’라고 생각한다. 육신이 ‘나’라는 관념에 사로잡힌 채 삶을 바라보기 때문에, 생사적 사고방식 안에 갇힐 수밖에 없다. 육신이 있을 때는 내가 살아있는 것이지만, 육신이 죽고 없어지면 ‘나’는 끝난 것, 죽은 것이라고 여기는 것이다. 그렇기에 우리의 모든 사고방식은 ‘죽음’을 인생이 끝난 것으로 알고, 최대의 실패로 여긴다. 육신이 ‘나’라는 사고방식에 갇히게 되면, 살아남는 것만이 성공이다. 그렇기에 죽음이 언젠가 올 것을 생각하며 괴로워한다. 죽음은 곧 괴로움인 것이다. 육신이 ‘나’일 때는 이처럼 죽음은 끝이며, 실패일 수밖에 없다.
그러나 육신이 ‘나’가 아님을 깨닫게 된다면, 삶은 영원하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면, 이 생만이 생의 전부가 아님을 깨닫고, 또 다른 삶이 계속해서 이어진다는 것을 안다면 생사적 사고방식에 빠져, 죽음 앞에서 두려움에 떨 이유가 없을 것이다.
부처님께서는 이처럼 색온을 ‘나’라고 착각하고, 오온을 나라고 착각함으로써 괴로움에 빠져 있는 중생의 실상을 보고, 오온무아, 색온무아를 설하신 것이다. 색온, 즉 이 육신이 ‘나’가 아님을 안다면, 생사적 사고방식에 빠져 노병사를 괴로움이라고 여기는 근원적인 어리석음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될 것이다.
부처님께서는 삶의 이치를 깨달아 해탈열반에 이르셨지만, 많은 사람들은 궁금해 한다. 생사를 벗어났다고 하신 분이 왜 죽게 된 것일까? 이것은 생사적 사고방식에 갇혀 있기 때문이다. 죽음이 괴로움이며, 죽으면 모든 것이 끝난다는 잘못된 허망한 착각에 사로잡힌 사람들에게 죽음은 모든 것이 끝난 것이지만, 육신이 내가 아님을 분명히 깨닫고, 오온이 내가 아님을 분명히 본 부처님에게 죽음은 고가 아닌 것이다.
[붓다수업] 중에서
'불교기본 교리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온과 상온무아 - 오온(5) (0) | 2015.03.01 |
---|---|
수온과 수온무아 - 오온(4) (0) | 2015.02.25 |
오온의 성립 - 오온(2) (0) | 2015.02.10 |
'있다'고 생각하는 것들의 실체 - 오온(1) (0) | 2015.02.05 |
분별을 버리고 있는 그대로 보라 - 십팔계(2) (0) | 2015.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