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이라는 착각 - 십팔계(1)
법상스님의 목탁소리

상주 대원정사 일요법회(13:30), 부산 목탁소리 토요법회(13:30)

상주 대원정사 일요법회(13:30) 부산 목탁소리 토요법회(13:30) 자세히보기

불교기본 교리강좌

마음이라는 착각 - 십팔계(1)

목탁 소리 2015. 1. 27. 23:35

 

 

 

3. 십팔계

 

 

십이입처와 육식의 발생

 

위에서 육입처는 외부에 있는 대상을 있는 그대로 온전히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나’라는 자아의식을 개입시킨다고 했다. 보고 듣고 냄새 맡고 맛보고 감촉을 느끼며 생각하는 내가 있다고 착각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즉 십이입처에서 아상과 법상이 생긴다. 이렇게 육내입처에서 내부의 감각 및 지각 기능과 활동하는 것을 보고 ‘나’라고 착각하는 아상이 생겨나고, 외부의 대상을 보고 ‘세계’라고 착각하는 법상이 생겨난다. 이런 착각이 있다 보니 자연스럽게 육내입처는 육외입처를 보면서 자기에게 도움이 되거나, 자신에게 이득이 되는 쪽으로 욕망과 집착을 일으킨다. 아상이 활동하는 것이다.

 

이처럼 십이입처는 ‘자아’와 ‘세계’를 나와 세상이라고 착각하는 허망한 의식이다. 그런데 자아와 세상을 나누고, 나와 너를 나누는 이 십이입처에서 나와 세상을 나누고 분별하여 인식하는 마음인 육식이 생겨난다. 십이입처를 인연으로 육식이 생기는 것이다.

 

십이입처의 의식에서는 자아의식이 생기기 때문에 내가 좋아하는 것만을 보고 싶고, 좋은 소리만 듣고 싶고, 좋은 향기와 좋은 음식을 맛보기를 원하게 된다. 반대로 싫어하는 것은 멀리하고 싶고, 싫은 소리는 듣기 싫어진다. 육내입처가 육외입처를 만나면서 좋고 나쁜 분별이 일어나고, 나에게 득이 되는지 실이 되는지를 따지게 되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육식의 분별해서 인식하는 작용, 식별해서 아는 작용이다.

 

무언가를 볼 때 보이는 대상에 대해 분별해서 인식하는 마음이 생기고, 들을 때 들리는 것에 대해 분별하여 아는 마음이 생기며, 냄새 맡고 맛보고 감촉을 느끼고 생각하면서 그 대상에 대해 분별하는 마음이 생기는 것이다. 이처럼 식별하고 분별하여 대상을 아는 마음을 식(識)이라고 한다. 눈으로 무언가를 보면서 분별하는 마음을 안식(眼識), 귀로 들리는 것을 분별해 아는 마음을 이식(耳識), 코에 냄새 맡아지는 것을 분별하는 마음을 비식(鼻識), 혀로 맛보아 지는 것을 분별해 아는 마음을 설식(舌識), 몸으로 감촉되어지는 것을 분별해 아는 마음을 신식(身識)이라고 부르며, 이와 같은 다섯 가지 오식에서 들어오는 분별심들을 종합적으로 분별해 아는 마음을 의식(意識)이라고 부른다.

 

이처럼 십이입처라는 허망한 의식이 생겨나면 십이입처라는 인연 따라 육식이 연기한다. 육식은 쉽게 말해 어떤 대상을 식별해서 아는 마음이고, 대상을 인식하는 의식이며, 우리가 보통 ‘마음’이라고 부르는 것이기도 하다. 초기불교에서는 심의식(心意識)을 이름은 다르지만 동의어로 보고 있으므로, 쉽게 생각하면 의와 식을 모두 ‘마음’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십이입처라는 허망한 의식에서 육식이 생겨나면, 이 십이입처와 육식을 인연으로 십팔계라는 새로운 계(界)가 발생한다. 여기에서 계란 ‘경계를 나눈다’는 의미로, 같은 종류로 묶어 경계를 나누는 것을 의미한다. 즉 십팔계는 자아계 내지 주관계로써 안계, 이계, 비계, 설계, 신계, 의계의 6가지와 대상계로써 색계, 성계, 향계, 미계, 촉계, 법계의 6가지, 그리고 의식계로써 안식계, 이식계, 비식계, 설식계, 신식계, 의식계의 6가지로 합쳐서 18가지를 말한다. 육근 내지 육내입처가 십팔계에서는 내육계가 되고, 육경 내지 육외입처가 외육계가 되며, 새롭게 의식계인 6가지 의식계가 만들어지는 것이다.

 

반야심경에서 무안계 내지 무의식계라는 것은 바로 이 18계의 첫 번째인 안계도 없고, 나아가 18계의 마지막인 의식계도 없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십팔계가 모두 공하다는 뜻이다. 즉 십팔계는 다만 인연 따라 일어났다가 인연 따라 흩어지는 것일 뿐, 고정된 실체로써 존재하는 것이 아닌 까닭이다.

 

 

  

 

 

 

분별해서 아는 인식 주체라는 착각, 육식

 

이처럼 우리는 보통 육식을 ‘마음’이라고 이해하며, 이는 대상을 아는 의식이다. 다시말해, 육내입처에서 육외입처라는 대상을 인식하는 의식이 육식이다. 내가 세상을 접촉하면서 받아들여 인식하다 보니 내 안에 ‘마음’ 혹은 ‘의식’이라는 것이 별도로 우리 안에 존재한다고 여기는 것이다.

 

눈으로 대상을 바라볼 때, 우리는 단순히 눈이 대상을 보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눈이라는 신체의 시각기관을 통해 우리의 마음이 본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눈을 통해 내 안에 실재하고 있는 ‘의식(마음)’이 세상을 본다고 여기는 것이다. 눈으로 볼 때, 눈으로 봐서 대상을 분별하여 인식하고 아는 ‘놈’이 있다고 여기게 되고, 바로 그 인식하는 마음을 ‘식(識)’이라고 부른다.

 

눈이 대상을 볼 때 보는데 따른 분별과 인식이 생김으로써 내 안에 보는 주체인 ‘보는 놈(안식)’이 있다고 여기고, 귀로 소리를 들을 때는 듣는 주체인 ‘듣는 놈(이식)’이 있다고 여기며, 맛보고 냄새 맡고 감촉을 느끼고 생각할 때도 각각 그것을 인식하는 ‘식’이 있다고 여기는 것이다.

 

그래서 이 식을 나의 주체라고 착각하게 된다. 경전에서도 “어리석은 중생들은 식을 ‘나 자식’이라고 착각하게 된다”라고 말씀하고 있다. 쉽게 말해, 어떤 의식하는 주체가 내 안에 존재하고 있으면서 눈으로 대상을 볼 때는 보는 의식으로 나타나고, 귀로 들을 때는 듣는 의식이 되는 등, 각각의 안이비설신의가 대상을 접촉할 때마다 그 ‘의식하는 놈’인 ‘식’이 눈으로도 귀로도 코로도 혀로도 몸으로도 뜻으로도 나타나면서 바깥 세상을 인식하는 주체가 된다고 여기는 것이다.

 

이런 내 안에 인식하는 주체인 ‘식’이 있다는 착각이 일어나게 되었을 때, 인식활동을 안계, 이계, 비계, 설계, 신계, 의계라고 하고, 인식대상을 색계, 성계, 향계, 미계, 촉계, 법계라고 하며, 바로 그 보고 듣고 냄새 맡고 맛 보고 감촉을 느끼고 생각하는 의식 주체를 안식계, 이식계, 비식계, 설식계, 신식계, 의식계라고 함으로써 십팔계가 성립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사실 육식이 일어나는 것은, 의식 주체가 내 안에 진짜로 있어서 눈으로 볼 때 안식계 등이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십이입처라는 허망한 착각으로 대상을 인식할 때 인연 따라 생겨나는 것일 뿐이다. 인연 따라 허망하게 생겼다가 사라지는 공한 것일 뿐이지만, 중생들은 어리석은 착각으로 인해 그것이 내 안에 있는 ‘식’이라는 실체로 여기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식을 내 안에 영혼처럼 생각하면서 죽지 않고 살아 있는 동안 지속되는 실체로 여기고, 나아가 죽고 난 다음에도 다음 생을 받는 영원한 존재라는 주장까지 생겨나게 된 것이다. 뒤에 있을 유식사상은 이 식에 대한 연구를 통해 제7말나식과 제8아뢰야식설까지 식사상을 확대시키고 있다.

 

이렇게 내 안에, 대상을 분별해서 의식하는 마음인 식이 있다는 육식의 분별심이 생기면, 내 바깥에는 이름과 형태를 가진 의식의 대상 즉 명색(名色)이 있다는 생각이 만들어진다. 육식이라는 분별심이 대상을 이름 붙여 인식하고 형태로써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육식의 대상을 경전에서는 명색이라고 부른다. 육근의 대상은 육경이지만, 육식의 대상은 명색이 되는 것이다. 즉 육근이라는 감각기능, 감각활동은 육경이라는 감각 대상을 상응하지만, 육식이라는 분별해서 의식하는 마음은 이름과 형태를 가진 것들로 대상을 분별해서 의식하는 것이다.

 

이 과정을 살펴보면, 뒤에서 살펴 볼 12연기의 구조와도 연결되어 있다. 무명, 행, 식, 명색, 육입 등으로 이어지는 12연기의 과정이 바로 그것이다. 어리석음, 즉 무명으로 인해 육내입처를 나라고 여기고, 육외입처를 세계라고 여기는 허망한 착각이 생겨났고, 그러한 십이입처라는 허망한 착각이 생기는 과정에서 아상과 욕망, 탐욕이 생겨나게 됨으로써 아상에 기초한, 이기심에 기초한, 탐욕을 채우기 위한 행(行)이 시작된 것이다. 눈귀코혀몸뜻으로 대상을 보고 듣고 냄새 맡고 맛보고 접촉하고 헤아리는 것 자체가 행이다. 눈으로 무언가를 보는 행, 귀로 소리를 듣는 행, 코로 냄새를 맡고, 혀로 맛보고, 몸으로 접촉하며, 뜻으로 헤아리는 행을 하게 되면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눈으로 보는 의식, 귀로 소리를 듣는 의식 등의 육식이 있다는 착각이 생기는 것이다. 여기까지가 무명-행-식이 일어난 과정이다.

 

그렇게 내 안에 보고 듣고 맡보는 등 세상을 인식하는 ‘의식’이 있다는 착각이 생겨나다 보니 자연스럽게 내 안에는 ‘식’이 있고, 내 바깥에는 그 대상인 ‘명색’이 있다는 허망한 생각이 드는 것이다. 이처럼 무명-행-식-명색의 과정에 이어 순환과정으로써 육입이라는 착각, 촉이라는 착각, 수-애-취-유-생-노사라는 12연기의 순환구조가 이어지는 것이다. 나머지 부분에 대해서는 12연기를 살펴볼 때 자세히 살펴보기로 하겠다. 

 

[붓다수업] 중에서

 

 


붓다 수업

저자
법상 스님 지음
출판사
민족사 | 2013-12-13 출간
카테고리
종교
책소개
지금은 붓다 시대, 웰빙, 힐링, 뉴에이지, 영성, 치유, 명상...
가격비교 글쓴이 평점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