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다는 것은 전부 가짜다!
법상스님의 목탁소리

상주 대원정사 일요법회(13:30), 부산 목탁소리 토요법회(13:30)

상주 대원정사 일요법회(13:30) 부산 목탁소리 토요법회(13:30) 자세히보기

마음공부 생활수행

안다는 것은 전부 가짜다!

목탁 소리 2019. 7. 6. 12:03
반응형

금강경에는 '불응주색생심 불응주성향미촉법생심 응무소주 이생기심'이라는 매우 유명한 사구게가 있습니다.

색에 머물러 마음을 내지 말고, 성향미촉법에 머물러 마음을 내지 말고, 응당히 머무는 바 없이 마음을 내라는 말씀입니다.

초기불교에서는 이것을 십이처, 십팔계로 설명하면서, 이것을 통해 무아를 증명하곤 하였습니다.

눈이 색(모양, 대상)을 볼 때, 그 보이는 대상이 실재한다고 여기고, 실체시하게 되면 거기에 집착하게 되고, 본 것에 머물러 마음을 내게 됩니다. 

본 것을 옳다고 여기면서 '내가 보았으니 맞아'라고 주장하는 것이지요.

어떤 사람을 아느냐고 물으면, 한 번 본 사람은 안다고 답변할 것입니다.

그런데 진짜로 보았으니까 아는 것일까요?

사실 본다고 할 때 그 대상을 있는 그대로 온전히 본 것이 아니라, 자기 식대로 해석해서 보고, 자기 판단대로 보았을 뿐입니다.

또 어떤 사람은 그 사람을 보고 좋지 않은 느낌이 일어날 수도 있고, 어떤 사람은 그 사람에게 반하고 사랑에 빠질 수도 있겠지요.

이처럼 어떤 한 사람을 보았다고 해서 그것을 안다고 여기거나, 내가 본 것에 대해, 보아서 안 견해에 대해 옳다고 여기거나 거기에 집착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것은 그 대상을 있는 그대로 본 것이 아니라, 내 안에 식으로 그려놓은 허상, 상을 본 것이기 때문입니다.

실상을 본 것이 아니라 허상을 본 것이지요.

그 사람을 보고 사랑에 빠졌다면, 그 사람이 정말 사랑스러운 사람이라고 여기면서, 내가 빠져 있는 이 사랑의 감정을 실재라고 여기고 상대에게 집착하기 시작합니다.

그 상대방을 내가 좋게 해석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그 사람은 정말 좋은 사람, 매력 있는 사람, 사랑스러운 사람이라고 굳게 믿고 집착하는 것이지요.

그러다 결혼 하고 살다보면, 때로는 그 때 사랑스러웠던 부분들이 오히려 더 미워질 수도 있습니다.

왜 이런 일이 벌어질까요? 나는 분명히 그 사람을 아는데 왜 훗날 보니 그것이 오류였음이 밝혀질까요?

실상을 본 것이 아니라, 허상을 본 것을 진짜라고 믿었기 때문입니다.

보았다고 다 믿지 말고, 보고 알았다고 그 생각을 100% 믿지는 마세요.

그것이 바로 불응주색생심, 즉 색에 머물지 않고 보는 것입니다.


다른 비유를 하나 더 들어보죠.

빨간색깔 도화지를 보고, 우리는 누구나 빨간색이라고 여기고, 내가 보았기 때문에 빨간색이 확실하다고 말합니다.

혹시 누군가가 그것은 빨간색이 아니라고 우기면서, 나를 바보 취급한다면 너무 황당해서 기가 막히겠죠?

제가 초등학교 때 모든 면에서 똑똑한 모범생 친구가 있었습니다.

그런데 그 친구가 반에서도 별로 똑똑하지 못하던 한 친구와 교실 한 쪽에서 논쟁이 붙었어요.

빨간색인가 어떤 색깔을 보고 모범생은 다른 색이라고 주장하는 것이었습니다.

둘이 너무 한 치도 물러섬이 없이 분명하게 자기가 주장하는 색깔이라고 하니, 반의 다른 친구들에게 물어봐서 누가 옳은지 보자고 했지요.

반의 모든 친구들이 똑똑하지 못했던 그 친구가 본 색깔이 맞다고 했지요.

알고보니, 그 모범생 친구는 자기도 모르는 색약이 있었던 것입니다.

자식은 결정코 '무슨 색'이라고 믿었는데, 반의 친구들 모두가 전부 다른 색깔이라고 할 때의 그 친구의 표정을 잊지 못합니다.

우리에게는 빨간색으로 보이는 것이 다른 사람에게는 다른 색으로도 보일 수 있습니다.

빨간색이라고 고집할 필요는 없지요.

자외선을 보는 곤충들은 가시광선만을 보는 우리들과는 다르게 세상을 봅니다.

자외선 필름으로 꽃밭을 촬영하면 그 색감이 우리 눈으로 보는 것과 다르게 나타납니다.

적외선 촬영기술로 사진을 찍으면 낭만적이고 몽환적인 사진을 얻게 되지요.

우리는 가시광선의 영역만을 볼 수 있는 것일 뿐, 적외선을 보는 뱀은 전혀 다른 세상을 볼 수도 있습니다.

이처럼 내가 보았다고 해서 그것을 전적으로 옳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더욱이 뇌과학에서 말하듯, 우리의 뇌는 대상을 전체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관심사를 근거로 제한적으로만 인식한다고 합니다.

인식 자체에서 자기식대로 왜곡해서 받아들인다는 것이지요.

그러니 나는 이렇게 보았지만, 다른 사람은 다르게 볼 수도 있습니다.

그러니 내가 보았다고 해서 절대적으로 옳다고 집착해서는 안 되겠지요.

.....

* 10년 전 광주 관음사 시절
일요법회 설법을 공유합니다

YouTube에서 '[음성/행복입문1] 나를 괴롭히는 방어벽을 깨라, 고정관념을 깨면 자유롭다' 보기
https://youtu.be/P2jTdXAE1mI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