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잡생각이 너무 많습니다. 항상 두 가지 길을 놓고 걱정하니 늘 마음이 괴롭고 안정이 되질 않습니다. 그래서 부정한 생각이 올라올 때마다 의식적으로 생각을 지워내고 끊으려고 합니다. 그런데 부정한 생각이 들면 이를 관하고 왜 그런 생각이 올라오는지, 어떻게 하면 긍정적인 방향으로 생각을 돌릴 수 있는지 다시 이런 생각에 집착을 하게 되니 오히려 불필요한 생각이 더 많이 들더라고요.
많은 분들이 끊임없이 올라오는 잡념들에 대해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모른 채, 그 생각들에 끊임없이 휘둘리며 살기 쉽습니다. 그래서 이 생각과 잡념을 없애려 노력을 하지요. 그러나 지금 법우님께서 말씀하신 그런 방법들 모두는 공통점이 있어요. 그 방법들은 모두 '생각'에 기초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잡생각을 없애고 비우기 위해 또 다시 생각을 가지고 애쓰고 있는 것입니다. 이 생각을 저 생각으로 바꾸는 것으로는 그 올라오는 잡념 자체를 비울 수 없습니다. 앞에 질문에서 ‘부정한 생각이 들면 이를 관(관찰)’한다고 하셨는데 여기까지는 좋아요. 그런데 그 다음에 '왜 이런 생각이 올라오는지' '어떻게 긍정적으로 돌릴 수 있는지' 하고 또 다시 생각을 굴리게 되니 그 생각에 집착을 하게 되고 오히려 더 많은 불필요한 생각들이 나올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그래서 '부정한 생각이 들면 이를 관' 하는 데에서 끝을 맺어야 합니다. 여기까지면 충분합니다. 그것만이 이 생각으로 저 생각을 대치시키는 그런 잘못된 방향을 바로 잡아 줍니다. 관하는 것은 생각을 사용하는 것이 아닙니다. 관은 무념(無念)이요, 무심(無心)입니다. 생각으로 관한다는 말은 있을 수가 없어요. 생각은 문제 해결의 실마리가 아니라 문제 그 자체일 뿐입니다.
부적에 관해 여쭙습니다. 부적을 방편으로 악귀를 물리치고 복을 바라는 것은 불교 교리에도 맞는 것이 아닌지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부적은 전혀 불교적이지 않은 적절하지 못한 길이라 생각됩니다. 조금 심하게 말한다면 종이 쪼가리 하나에 우리 마음을 의지한다는 것이 얼마나 어리석은 것입니까? 내 안에 어마 어마한 보석이 숨어 있는데, 그깟 종이 한 장에 의지를 한다면 그것은 무언가 잘못 된 것입니다. 부적을 몸에 지니고 있으면 왠지 모르게 든든하고, 일이 잘 될 것 같다가 부적을 분실했다고 금방 마음이 불안해진다면 이 얼마나 어리석은 것입니까? 우리가 왜 부적이 되었든, 그 무엇이 되었든, 외부적인 어떤 것에 나약하게 마음을 의지하고 거기에 내 중심을 빼앗겨야 합니까? 물론 말씀하신대로, 부적을 몸에 지님으로써 '좋은 일이 있을 것만 같은 느낌'과 '왠지 모를 든든함'이 생기고, 그 때문에 실제 삶에서 조금 더 긍정적이 된다거나, 힘을 낼 수 있게 될 수도 있겠지요. 그러나 그것은 유한하고 본질적이지 못한 것입니다. 심지어 불교에서는 불교에 조차 전적으로 의지하지 말고, 진리 자체도 놓아버릴 수 있어야 한다고 설하는데, 까짓 부적에 집착한다는 것이야 말이 되겠어요? 심리적인 플라시보 효과 때문에 부적이라는 방편을 쓰고자 한다면, 차라리 무상한 부적에 의지할 것이 아니라 내 안에 불성이 있다고 믿는 보다 본질적인 요소에 의지하는 것이 더 낫지 않을까요? 물론 불성이라는 것 또한 하나의 이름이고, 방편일 뿐입니다. 그래서 부처님께서는 어딘가에 의지를 하려면 세 가지에 의지하라고 했습니다. 그것이 바로 우리의 귀의의 대상인 '삼보'인 것입니다.
제가 요즘 몸이 안 좋다보니 모든 것이 어긋나고 신경도 날카로워져 있습니다. 그런데 아버지는 옆에서 계속 잔소리만 하시고 저도 모르게 짜증이 나서 싸우게 됩니다. 제가 아프고 싶어서 아픈것도 아닌데 잔소리만 하시니, 저도 뭘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몸이 아프면 주변의 상황들도 함께 아파지곤 합니다. 그러나 문제를 분명히 보면, 사실은 아프다는 그 사실보다 아프면서 모든 것이 어긋나기 시작했다는 그 한 생각이 더 큰 상처와 고통을 가져 오곤 합니다. 몸이 아픈 것은 주로 내 안의 어떤 상처나 업장이나 병의 씨앗들을 풀어 없애기 위한 목적으로, 즉 나를 돕기 위한 목적으로 나에게 다가온 경계이기 쉽습니다. 즉 몸이 아프다는 상황이 꼭 '나쁜' 상황인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나를 돕기 위한 좋은 상황일수가 있어요. 그런데 우리는 몸이 아프면 그 상황을 '나쁜 상황'이라고 판단하고, 해석함으로써 그 상황을 더욱 나쁜 상황으로 몰고 가곤 합니다. 그러다보니 아버지와도 다투게 되는 것이지요. 그러나 사실 이것은 아버지와의 갈등이 아니라 내 안의 갈등입니다. 내 안의 갈등을 풀어주는 것이 더 시급합니다. 그것이 바로 마음공부요 수행입니다. 내 안에서 일어나는 아픈 현상들과 느낌들과 생각들을 가부좌를 틀고 앉아 가만히 지켜보십시오. 약만 약이 아니라 정좌하고 앉아 내면을 지켜보는 것이야말로 가장 뛰어난 약입니다. 이 약은 당장에 효과를 보지는 못할지라도 근원적인 병의 원인을 없애줄 수 있는 뛰어난 의사입니다. 나 자신만이 내 병을 고칠 수 있어요. 원인 제공자가 그 원인을 없앨 수도 있는 것입니다. 법우님 안에 얼마나 큰 힘과 지혜가 있는지 직접 내맡기고 시험 해 보시기 바랍니다.
'법상스님 즉문즉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일기도, 왜 달라지는게 없죠? (1) | 2010.11.24 |
---|---|
108배 수행이 잘 안되요 (0) | 2010.11.24 |
부자가 되는 방법 (0) | 2010.09.06 |
무능한 부하직원, 어쩔까요? (0) | 2010.09.06 |
암 진단, 자연치유로 극복하려면 (2) | 2010.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