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의 업과 습관 - 법구경 15, 16게송
법상스님의 목탁소리

상주 대원정사 일요법회(13:30), 부산 목탁소리 토요법회(13:30)

상주 대원정사 일요법회(13:30) 부산 목탁소리 토요법회(13:30) 자세히보기

법구경과 마음공부

선의 업과 습관 - 법구경 15, 16게송

목탁 소리 2009. 8. 26. 06:44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15.
악한 짓을 한 사람은
이생과 내생에서 근심한다.
그는 두 생에서 모두 근심 걱정한다.
악행은 늘 그를 따라다니며 괴롭힌다.

16.
선한 일을 한 사람은
이생과 내생에서 기뻐한다.
그는 두 생에서 모두 기뻐한다.
선행은 늘 그를 따라다니며 평안을 준다.


악을 행하면 악의 흔적이 남고 악의 업장이 남고 악의 습관이 남는다. 악한 행위는 사라지지 않고 내 안에 악의 기운을 남기게 된다. 그렇기에 악을 행하게 되면 내 안에 악의 기억과 악의 습관이 남아 있으므로 그 다음에도 선보다 악을 행할 확률이 높아진다. 한 번 해 본 것은 그 다음에는 더 쉽기 때문이다. 더 쉽고 때로는 자동적으로 그렇게 튀어나온다.

똑같은 상황에서 선으로 반응을 하거나 악으로 반응을 하는 것은 내 의지이지만, 한 번 반응한 것은 고스란히 내 안에 어떤 흔적을 남기고 만다. 그러한 선악의 반응들이 하나 둘씩 계속 이어지게 되면 그 흔적은 습관처럼 굳어지고 만다. 습관은 끊임없이 계속되는 습성을 가지고 있다. 선의 습관은 계속해서 선을 만들어내고 악의 습관은 계속해서 악을 만들어낸다.

예를 들어 잘난 척 하기 좋아하는 사람, 자기 자랑을 늘어놓는 사람을 만났다고 치자. 그 때 우리의 반응은 둘 중 하나이기 쉽다. 첫째는 그 자랑을 받아주며 칭찬해 줄 수 있고, 둘째는 잘난 척 하는 모습이 보기 싫어 쏘아붙일 수도 있다. 전자의 반응을 보인 사람은 이제 뒷날 똑같은 상황을 만나더라도 넓은 마음으로 그 자랑을 받아주며 칭찬해주기 쉽다. 아니 그것이 더 쉽다. 몸에 한 번 기억되었고, 습으로 남게 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후자로 기분 나쁘게 반응한 사람은 다음에 똑같은 상황을 만나더라도 그런 사람이 꼴보기 싫고 밉상으로 느껴지기 쉽다. 그리고 또 다시 그런 상황을 만난다면 그 때부터는 자동적으로 반응이 튀어나온다. 그러면서 선은 또 다시 수많은 선을 불러오고, 악은 또 다시 수많은 악을 불러오게 된다. 전자의 반응을 한 사람은 끊임없이 칭찬해 줄 일이 생기고, 후자의 반응을 한 사람에게는 끊임없이 꼴보기 싫은 사람이 생겨난다.

화나 성냄도 마찬가지다. 내가 시킨 일을 잘 못하는 아랫사람을 만났을 때 우리는 잘 다독이면서 오히려 격려해 주고 자비롭게 가르쳐 줄 수도 있고, 화를 내며 이것 밖에 못 하느냐고 면박을 줄 수도 있다. 그러나 그 두 가지 반응들은 고스란히 우리 안에 흔적을 남기고 업습(業習)을 남긴다. 전자의 사람은 그 다음에도 화나는 상황에서 자비롭게 대처하는 것이 더 편해지고, 후자의 사람은 그 다음에 비슷한 상황을 만나더라도 화를 내게 된다. 그것이 바로 업습이다. 업은 이처럼 습관처럼 굳어져 선은 더 큰 선을 부르고, 악은 더 큰 악을 부른다.

그래서 선을 행한 자는 이번 생에서도 기뻐하지만 다음 생에서도 기뻐하고, 악을 행한 자는 이번 생과 다음 생에서 모두 근심 걱정에 시달린다. 선행과 악행은 언제나 그를 따라 다닐 수밖에 없다. 선행과 악행은 고스란히 내 안에 흔적을 남기고 업습을 남기기 때문이다.

선업은 선의 과보를 남기고 악업은 악의 과보를 남기지만, 사실 더 중요한 것은 선업을 한 번 짓고 나면 그 다음에도 습관적으로 선업을 지을 확률이 높아지고, 악업을 짓고 나면 그 다음에서 악업을 짓는 것이 훨씬 쉬워진다는데 있다. 한 번 지은 과보를 한 번 받으면 그만이지만, 업습이라는 것은 고스란히 우리 안에 습관처럼 흔적을 남기니 그것이 문제다. 그 습관은 이번 생 뿐 아니라, 다음 생까지 이어진다. 선업은 이생에서 내생까지 끝까지 우리를 따라다니며 평안과 기쁨을 주지만, 악업은 이생에서 내생까지 끝까지 우리를 따라다니며 근심 걱정을 불러온다.


돼지잡이를 55년 동안 해 온 백정 춘다는 돼지를 평생동안 살생한 업을 지음은 물론, 성격도 잔인했으며 착한 일은 거의 하지 않고 지냈다고 한다. 그 결과 죽음에 이르러 손이 돼지발처럼 안으로 오그라들면서 죽기 전 7일 동안 지옥의 고통을 겪었다고 하고, 죽은 뒤에도 아비지옥에 떨어졌다고 한다.

반면에 담미까라라는 한 재가신자는 평소 계행(戒行)을 잘 지키고 덕이 많으며 늘 보시를 생활화하였고, 무엇보다도 수많은 비구스님들의 탁발을 위해 항상 공양 준비를 해 주었으며, 14명이나 되는 아들과 딸들 또한 부모님의 덕을 보고 배워 계행과 보시를 실천하였으며 늘 부처님 가르침을 듣고 지혜로운 삶을 살았다. 이런 결과 대장장이 춘다의 죽음과 상반되게도 담미까라가 죽음에 이르렀을 때는 밤낮으로 비구스님들이 찾아 와 독경해 주었고, 죽을 때도 천상의 신들이 내려와 마중해 주었고, 죽음 이후에도 도솔천에 태어났다고 한다.

이처럼 이번 생에 행한 선행과 악행은 고스란히 죽을 때까지 이어지고, 죽음 이후에도 그 결과가 다음생까지 계속되는 것이다.
그래서 한 번의 선행이 중요한 것이고, 한 번의 악행이 위험한 것이다. 그것은 그 한 번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안에 습관을 만들어내면서 끊임없이 우리를 따라다니기 때문이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항상 깨어있어야 하는 이유다. 항상 깨어있으면서 내가 어떤 행을 하고 있는지를 늘 지켜보아야 한다. 어떤 상황에서 악업을 만들어내길 즐겨하는지, 선업을 만들어내길 즐겨하는지 잘 지켜보아야 한다. 한 번 만들어 낸 선업은 또 다른 선업의 씨앗이지만, 한 번 만들어낸 악업은 또 다른 악업을 부르기 때문이다.

화낼 상황에서, 악업을 지을 상황에서 의도적으로 자비롭게 대해보라. 자비로운 방식으로 자비로운 말씨로 상대방을 향해 선업의 씨앗을 퍼뜨려 보라. 처음에는 어렵겠지만 그래서 연습하고 습관화해 보라. 한 번, 두 번 선행과 자비가 이어지게 되면 그 다음부터는 훨씬 쉬워진다. 똑같은 화날 상황에서 두 번째, 세 번째, 또 그 다음으로 갈수록 훨씬 자비롭게 대응하기가 쉬워진다. 벌써 습관이 되었기 때문이다.

선행으로 이생과 내생에서 계속해서 기쁨을 누릴 것인가, 악행으로 이생과 내생에서 언제까지고 근심과 걱정을 안고 갈 것인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