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법무아의 의미
앞에서 제행무상의 ‘제행’이 ‘모든 존재’, ‘모든 행’을 말한다고 했는데, 제법무아의 제법 또한 ‘모든 존재’라는 비슷한 의미를 지닌다. 여기 제법(諸法)에서 법(法, dharma)은 ‘존재’‘일체 모든 존재’라는 의미로 쓰이고 있다. 일반적으로 법이라고 하면 ‘진리’‘진리의 가르침’ 정도로 이해하는 경우가 많은데, 불교에서 ‘법’이라는 용어는 이외에도 ‘존재’‘일체 모든 존재’라는 의미로도 쓰여 진다. 예를 들어 삼법인에서 ‘법’은 ‘진리’를 의미하며, 제법무아에서 ‘법’은 ‘존재’를 의미한다.
무아(無我)는 ‘내가 없다’는 의미이다. 여기서 ‘나’라는 것은 나라는 개인 뿐 아니라, 모든 인간을 넘어서 일체 모든 존재를 의미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고정된 실체로써의 본질적인 나라는 것도 포함된다. 즉 이 우주법계에 존재하는 일체 모든 존재는 고정된 실체로써 존재하는 것이 아니며, 우리가 생각하는 본질적인 자아 또한 사실은 실체가 없는 것임을 의미한다.
여기에 이렇게 분명히 나라는 존재가 살아 움직이고 있음에도 왜 무아라고 하는가. 앞서 설명했듯이 일체 모든 존재는 인연 따라 만들어졌다가 인연이 다하면 소멸할 수밖에 없으며, 항상 하지 않고 끊임없이 변할 뿐이다. 항상 하지 않고 끊임없이 변한다면 지금의 ‘나’라는 존재는 무엇인가. 이 또한 잠시 잠깐 인연 따라 이런 모습으로, 이런 성격으로, 이런 몸뚱이를 받아 이번 생에 나왔을 뿐이다. 지금 나의 모습이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다. 인연 따라 끊임없이 변해가는 억겁의 세월 가운데 찰나의 모습에 불과하다. 그러니 이처럼 연기법으로 운행되는 세상에서 제행이 무상한 가운데 피어나는 모든 존재는 무아일 수밖에 없는 것이다. 연기하기 때문에 무상이며 무아인 것이다.
이러한 제법무아는 연기법에 대한 공간적인 해석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제행무상은, 연기법을 시간적인 측면에서 보았을 때, 지금 보기에는 항상 할 것 같던 모든 존재들이 시간이 흐르고 나면 언젠가 소멸될 수밖에 없는 실상을 보여주는 가르침이었다면, 제법무아는 지금 이 자리에서 공간적으로 살펴보더라도 모든 존재는 실체적인 것이 아니며, 공한 것이라는 가르침을 보여주고 있다. 이 세상의 모든 존재는 저홀로 독자적으로 존재할 수 없으며, 서로 다른 모든 존재들과의 상호연관과 연기적인 도움을 통해서만 그 자리에 그렇게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이 있으므로 저것이 있고, 이것이 없으면 저것도 없다’는 연기법의 공간적인 관점을 제법무아는 보다 선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고정된 실체는 없다
제법무아는 한 마디로 모든 존재는 고정된 실체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말해 지금 이 자리에 ‘있는’ 것처럼 보이는 모든 존재는 그것이 고정된 실체로써 있는 것이 아니라, 잠시 인연 따라 연기되어진 존재로써 인연가합(因緣假合)으로 있는 것이란 의미다. 인연가합이란 인연 따라 합쳐진 모습이기는 하지만 그것이 실체로 있는 것이 아니라 거짓으로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법무아는 어느 하나 남김없이 이 세상의 모든 존재가 이처럼 거짓으로 잠시 인연 따라 생겨난 것이기에 인연이 다하면 흩어질 수밖에 없는 연기적인 속성을 가지고 있음을 설한 것이다.
어떤 이들은 무아라고 하니 말 뜻 그대로만 보고 무아를 ‘나’ 혹은 ‘사람’에게만 한정하여 해석하는 경우도 있고, 혹은 나아가 유정물 정도로 확대하여 해석하는 경우가 있는데, 무아에서 ‘아’라는 것은 그야말로 이 우주법계의 일체 모든 것들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보아야 한다. 즉 생명 있고 없는 모든 존재를 포함하여 그 존재의 행위나 그 존재가 만들어내는 일, 감정, 사건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라고 볼 수 있다. 그야말로 ‘일체 모든 것’이 고정된 실체를 가지지 않는다는 말이다. 사람이나 생명 있는 모든 존재도 무아이며, 나무나 풀이나 돌이나 지구, 태양, 우주 또한 고정된 실체가 아닌 무아이고, 세상에서 벌어지는 모든 일들, 사건들, 사람들이 만들어내는 온갖 일과 사람들의 감정들까지 모든 것이 고정적인 실체를 가지지 않는 것이라는 의미다.
예를 들어 여기에 자전거가 한 대 있다. 우리 눈으로 보기에는 분명히 존재하는 자전거이지만 연기법에서는 이 또한 무아라고 한다. 즉 ‘자전거가 없다’는 말이 아니라, 자전거는 인연 따라 존재하는 것이기 때문에 실체가 없어서 공(空)한 것이란 의미다. 시간적으로 보더라도 자전거는 언젠가는 녹슬어 사라질 것이며, 공간적으로 보더라도 바퀴와 체인과 의자와 바퀴살과 모든 부속품들을 떼어놓는다면 그 순간 자전거는 자전거로써의 기능과 이름을 잃게 된다. 그것은 더 이상 자전거가 아니라 각각의 부속품들일 뿐이다. ‘자전거’라는 이름이 있기 위해서는 각각의 부속품들이 인연 따라 조화롭게 화합하여 서로를 붙잡아주고 서로를 의지해 줌으로써 각각이 있어야 할 곳에 서로에 의존해 있어야만 한다. 상호의존, 상의상관이라는 연기적인 모임이 없고서는 자전거가 생겨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지금 내 앞의 자전거는 있기는 있되 실체적으로 있는 것이 아니라 연기적으로 있는 것이다. 바로 이것을 일러 무아라고, 혹은 공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불교기본 교리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나, 주인공, 불성도 없다 - 삼법인 강의(8) (3) | 2014.01.05 |
---|---|
'나'는 이렇게 있는데 왜 무아지? - 삼법인 강의(7) (0) | 2013.12.31 |
변화를 받아들이라 - 삼법인 강의(5) (1) | 2013.12.31 |
무상의 과학적 증명 - 삼법인 강의(4) (0) | 2013.12.31 |
업도 운명도 변한다 - 삼법인 강의(3) (0) | 2013.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