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자연의 이치에 맡기고 살라
법상스님의 목탁소리

상주 대원정사 일요법회(13:30), 부산 목탁소리 토요법회(13:30)

상주 대원정사 일요법회(13:30) 부산 목탁소리 토요법회(13:30) 자세히보기

자연관찰 감성일기

대자연의 이치에 맡기고 살라

목탁 소리 2007. 12. 12. 09:18
반응형



[춘천 청평사 오르는 길에...]

비가 옵니다.
방안 널찍한 창 문을 활짝 열고
빗소리를 들으며 앉아 있습니다.
이렇게 비가 많이 오기가 참 힘든데
오늘은 아침부터
우울한 하늘에 구멍이라도 뚫린 듯
거친 파도처럼 밀려오다 밀려가다 그럽니 다.

나무들이며 들풀, 야생화들도
오늘은 한참 정신이 없어 보입니다.
저 녀석들 지금이 야 한참 정신 없다 보니
하늘에서 내리는 거친 비를 원 망할 지 모르겠지만
이런 역경이 자신을 더욱 강인하 게 만들어 준다는 걸
아마도 지금은 모를 겁니다.
비 가 그치고 햇살 쨍 하고 내려 쬘 때
그 때 조금씩 느낄 수 있겠지요.

이른 아침
저 숲 위로, 나 무 위로, 들풀 위로,
떨어지는 빗방울 소리를 듣고 있자니
차 한 잔 생각도 나고
감성이 더 여리고 새록해 집니다.

저렇게 떨어지는 비를
그대 로 맞고 있는 나무들은, 저 숲의 생명들은
참 의연도 합니다.

절 주위는 얕은 산이라
온 갖 나무들이며 들풀, 꽃들이
피고 지고 피고 지고
잠시 도 쉬지 않고 너가 지면 또 내가 피어나고
핀 꽃이 지 면 또 다른 꽃이 피고 그럽니다.

풀들도 처음 여린 잎의 생김새 와
한참 물이 올라 피어오른 모습은 전혀 달라요.
처음 엔 작은 풀이거니 했는데
비 한 번 오고 시간 조금 지 나고 나면
꼭 나무 처럼 쑥쑥 자라 나를 당황케 하는 녀석들도 있고,

처음엔 예쁘고 귀엽던 것들이
얼마나 생명력이 강하고 번식력이 강한지
무서울 정도 로 뿌리를 내리고 가지를 뻗기도 합니다.

채소밭에 너무 큰 풀들은 뽑아 주는데
한참 풀들을 뽑아주다 보면
뿌리가 얼마나 길고 굵 은 지
세상 위로 올라온 것의 몇 배 이상은 됨직한 뿌리를 보 면
섬짓 이네들의 생명력에 놀라고 두려움 마저 일게 될 때가 있습니다.

이렇게 뽑아 낸다는 것이
어떨 때는 참 미안하기도 하고
저 녀석들도 다 이유가 있 어 피어오르는 것이고,
저렇게 당당한 뿌리를 만들었을 것인 데 하고 생각하면
풀 뽑는 일도 잠시 머뭇거리게 됩니 다.

그래서 될 수 있다면
풀 도 그대로 함께 자랄 수 있도록 내 버려 둡니다.
너무 커 서 채소들 키를 웃자랄 때가 되면
그런 녀석들만 뽑아서 옆에 놓아둘 뿐
될 수 있다면 함께 자라도록 내버려 두는 것이
저 채소들에게도 살아남기 위한 경쟁력도 될 것이 고,
그 경쟁력이 더욱 채소들을 생명력 있게 가꿀 것이 며,
또한 함께 자라주는 따뜻한 이웃이고
도반이 될 수 도 안 있겠나 싶은 생각이 들기 때문이기도 합니 다.

이렇게 여러 가지 풀들이 함 께 자라고
이웃 풀들과 함께 경쟁도 하고
또 함께 살아가려고 서로 서로 도와 주기도 하면서
그렇게 자라난 채소들은
겉으로 보기에는 부실하고 열매가 적을 지 몰라도
그 생명력은 더욱 강인하며
실제로 병해충으로부터의 예방 에도 큰 도움이 된다고 들었습니다.

채소도 생명인데
우리 사람 들하고 사는 것이 다를 리야 있겠어요?
사람도 마찬가 지 아닙니까.
늘상 온실 속에서 자란 채소들 처럼
온갖 시련과 힘 겨운 경계를 당해 보지 못하고
늘 행복하게만, 늘 풍족하게 만, 늘 보호 속에서만 자란다면
그 사람의 내적인 생 명력은 빛을 잃게 되고 맙니다.

시련과 역경 속에서
실패 도 맛보면서 주춤주춤 거리다가
그래도 딱 버티며 일어서기 를
몇 번이고 반복할 수록
우리들의 내적인 삶의 빛 은 더 생기를 띨 수 있는 법이지요.

본래부터 아무리 큰 시련이며 역경이라도
꼭 우리가 이겨낼 수 있는 만큼만 오고
또 꼭 필 요한 바로 그 때 오지
내가 이겨내지 못할 일이
도저 히 이겨내지 못할 때
찾아오는 법은 없다고 그럽니 다.

채소도 키워 보니까 우리하고 똑같습니다.
처음에 자랄 때 오이에 진딧물이 자꾸 붙길래
손으로 떼어주고 떼어주고 하다가
어디서 주워 들은 얘기를 듣 고 담뱃재 우린 물도 줘 보고
그래도 그래도 끊임없이 끊 임없이 진딘물이 생기데요.

그래서 그래 너도 먹고 살아야 지 싶어
그냥 내 버려 두었지요.
그래도 다행인 건 이 진딧 물도 양심은 있는지
전체 오이를 다 괴롭히는 건 아니고
그 중에 부실한 몇몇 오이에만 가서 붙어 있으니
그래 도 얼마나 고맙나 싶어 오히려 감사한 마음이었지 요.

우리 사람들이야 어디 그럽니 까.
될 수 있으면 좋은 것, 많은 것 더 가지려고 하고
그것도 모자라 최대한 많은 양을 모아 축적하려고 안달이 지
양심이라는 것이 우리들 욕심 앞에 맥을 못 추지 않아요.
진딧물에게도 배울 점이 있는겁니다.

그렇게 며칠이 지나고 보니까
진딧물이 많이 붙은 오이에만 개미들이 모여요.
아직도 긴가 민가 하지만
아마도 개미들이 진딧물을 잡아 먹는 가 봅니다.
그러더니 며칠 전 부터는
무당벌레들도 몇몇마리 나와 서는
진딧물 사냥에 나서 주고 있습니다.

가만히 보니까
내가 할 일 을 자기네들끼리 알아서 잘 해 주고 있어요.
그런데 여기다가 진딧물 싫다고 농약 막 쳤어 봐요.
그 농약에 개미들 도 무당벌레도 다 죽었을 거 아닙니까.

사람의 일도 마찬가지지 요.
시련과 역경이, 힘겨운 일이 생기면
그거 이겨내려고 발버둥치다가
도저히 안 되겠다 싶을 때 그냥 주저 않아 버 리지만,
그 상황이 아무리 최악이다 싶더라도
대자연 부처 님의 숨결에 일체 모든 것을 내맡기고 살 수 있다면
분명 대자연 우주 법계에서는 해답을 내려 줄 것입니 다.

아무리 관찰해 보아도
자연 은 참으로 신비롭고 또 정확하다는 걸 느낍니다.
정확하 게 그 일이 바로 그 때 정확하게 일어나고 있어요.
필요 한 일이 필요한 때 필요한 만큼 생겨나는 겁니 다.

우리들 인간들 머리로
그 위대한 자연의 이치를 거스르려고만 하지 않고,
자연 과 함께 그 이치에 모든 것을 맡기고 살아갈 수 있다면
저 숲 속의 생기어린 생명력과 포근함을
우리 사람 들 내면에서도 느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자연의 이치에 모든 것을 내맡 기고 산다는 것은
흡사 '내 일'이 아닌 '부처님 일'로 알 고 산다는 말이고,
자성불 주인공 자리에 일체 모든 것 을 맡기고 산다는 말입니다.
대자연 우주가 그대로 법신 비로자나 부처님의 화신이기 때문이지요.

이 대자연의 숨결에
일체 우리의 모든 것을 내맡기고 살면,
그래서 내 일로 잡 고 살지 말고
대자연 법신 부처님의 일로 돌려 놓고 살 면
우리 사람들에게서도
저 대자연의, 저 청청한 숲의 향을 느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