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 제19분 법계통화분 강의
법상스님의 목탁소리

상주 대원정사 일요법회(13:30), 부산 목탁소리 토요법회(13:30)

상주 대원정사 일요법회(13:30) 부산 목탁소리 토요법회(13:30) 자세히보기

금강경과 마음공부

금강경 제19분 법계통화분 강의

목탁 소리 2009. 10. 4. 13:26
반응형



제 19, 법계통화분
법계를 모두 교화하다


法界通化分 第十九
須菩提 於意云何 若有人 滿三千大千世界七寶 以用布施 是人 以是因緣 得福多不 如是 世尊 此人 以是因緣 得福 甚多 須菩提 若福德 有實 如來不說 得福德多 以福德 無故 如來說 得福德多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만약 어떤 사람이 삼천 대천 세계에 가득 찬 칠보로써 널리 보시한다면 그 사람은 그 인연으로 많은 복을 얻겠느냐?”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그 사람은 그 인연으로 아주 많은 복을 얻을 것입니다.”
“수보리야, 만약 복덕이 진실로 있는 것이라면 여래가 복덕을 많이 얻는다고 말하지 않을 것이지만, 복덕이 본래 없는 것이므로 여래가 많은 복덕을 얻는다고 말한 것이다.”

법계통화란 법계를 모두 교화한다는 의미이다. 보통 법계를 다 교화하고자 하면 수많은 재물이 있어야 할 것 같고, 법계 즉 삼천대천세계를 가득 채울 수 있는 칠보가 있어야 그것을 널리 보시함으로써 법계의 모든 중생을 교화할 수 있다고 생각하곤 한다. 그것이 중생의 어리석은 생각이다. 그러니 사람들은 중생을 교화하기 위해서는 재물이 있어야 하고 돈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사람들에게 널리 베풀고자 하는 자비의 마음을 내었더라도 고작 할 수 있는 일이라는 것이 명절 때나 되어 불우이웃들에게 돈이나 물질적인 것들을 준비해 베풀어 주는 것 이상을 생각하지 못하곤 한다. 그리고는 그것을 드러내고자 하고, 언론에도 공개해야 하고, 자신의 선행을 자랑하고자 애를 쓴다. 물론 그러한 것 또한 유위의 복이 될 수는 있겠지만 그것이 진정 법계를 교화할 수 있는 무위의 공덕이 될 수는 없는 것이다. 똑같이 칠보로써 보시를 하더라도 중요한 것은 상을 여읜 무위의 보시가 될 수 있는가에 있다. 아상을 가지고 보시를 하면 삼천대천세계를 가득 채워 보시하더라도 유위복은 될 수 있을 지언정 무위의 복은 되지 못하지만, 상을 여읜 무위의 보시를 한다면 쌀 한 톨을 가지고도 법계를 전부 교화하고도 남을 수 있을 것이다. 이 장에서는 참으로 법계를 모두 교화하고자 한다면 무위의 보시, 상을 여읜 무위의 행이 되어야 함을 나타내고 있다.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만약 어떤 사람이 삼천 대천 세계에 가득 찬 칠보로써 널리 보시한다면 그 사람은 그 인연으로 많은 복을 얻겠느냐?”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그 사람은 그 인연으로 아주 많은 복을 얻을 것입니다.”
“수보리야, 만약 복덕이 진실로 있는 것이라면 여래가 복덕을 많이 얻는다고 말하지 않을 것이지만, 복덕이 본래 없는 것이므로 여래가 많은 복덕을 얻는다고 말한 것이다.”


삼천대천세계에 가득 찬 칠보로써 널리 보시한다면 그 사람은 그 인연으로 많은 복을 얻겠는가 하는 부처님의 질문에 수보리는 그렇다고 답변한다. 사람들이 자신이 번 월급을 가지고도 남을 위해 다만 얼마씩이라도 보시를 한다면 그것이 큰 공덕이 될 것인데, 하물며 삼천대천세계에 가득 찬 칠보로써 널리 보시한다면 그 공덕은 얼마나 많을 것인가.

얼마 전에 한 거사님께서 당신은 매월 월급을 받아서 매달 정기적으로 어려운 이웃을 돕는데 쓰신다고 하면서 그렇게 매달 보시를 하기 전보다 이렇게 매달 보시를 하고 나니 그렇게 뿌듯하고 기쁘다고 하셨다. 액수가 중요한 것은 아니다. 그렇듯 보시하는 마음 그 자체가 순수하다. 보통 사람들은 어떤가. 자신의 재산 늘리기에만 여념이 없지 다른 사람에게 보시하려는 마음을 낼 수 조차 없을 만큼 자신의 이기에 혈안이 되어 있는 사람이 많이 있다. 그런 사람에 비한다면 이 얼마나 밝은 일이고 복덕이 되는 일인가. 아마도 그 사람은 큰 복덕을 받을 것이다. 베푼 것은 분명히 법계에 저축이 되었다가 내게로 되돌아 오기 때문이다. 이렇듯 작게나마 매달 베풀면서도 우리 마음은 얼마나 부자가 된 듯 기쁜가. 풍요로운가.

그러나 베푼 것에 대해 내 입으로 떠벌리고 다니면서 상을 낸다면 그 때는 그 공덕은 입을 벌려 얘기하면 할수록 사라지고 만다. 완전한 무위로써, 그 어떤 상도 내지 않는 무주상으로 보시를 했다면 그 작은 돈이 법계에 고스란히 저축도 되고 이자까지 저축이 될 것이지만 입을 벌려 이야기 함으로써 벌써 그 복은 유위로 전락하고 만다. 어쨌든 그렇게라도 보시하지 않은 것 보다는 보시하는 것이 큰 복덕이 된다. 그러니 다만 얼마씩 보시를 하는것도 이렇게 큰 복덕이 될진대 삼천대천세계를 가득 칠보로써 보시한다면 이 얼마나 큰 복덕이 되겠는가. 삼천대천세계의 모든 가난한 사람들, 모든 굶주린 사람들을 다 먹여 살리고도 남을 칠보로써 보시를 한다면 이 어찌 작은 복덕이라 할 수 있겠는가. 지금 세계에서는 이 순간에도 하루에 3만 5천 명의 어린 아이들이 기아로 죽어간다고 한다. 수많은 사람들이 전쟁으로 질병으로 기아로 죽어가고 있으며, 죽기 직전에 놓여 있다. 그런데 삼천대천세계 전체를 칠보로써 보시한다면 그 모든 생명을 다 살리고 먹이고도 남을 것이 아닌가. 이 어찌 작은 복덕이라 하겠는가. 수보리는 그 사람은 그 인연으로 매우 많은 복을 얻을 것이라고 답변하고 있다.

부처님의 답변도 그러하다. 그 인연으로 매우 많은 복을 얻을 것이다. 그러나 그 복덕이 진실로 있는 것이라면 부처님은 그렇게 답변하지 않으셨을 것이다. 복덕이란 것이 본래 없기 때문에 부처님은 많은 복덕을 받는다고 말씀하신 것이다. 다시말해 복덕이란 복덕이 아니며 다만 그 이름이 복덕일 따름이란 말이다. 즉 복덕이라는 것은 고정된 실체로써 있는 것이 아니라 다만 인연따라 꿈처럼 환영처럼 신기루처럼 만들어졌다 사라지는 것일 뿐이다. 그러니 꿈속에서야 복덕을 많이 짓고 받는 것이 있겠지만 그것이 다 꿈일 뿐이지 꿈을 깨고 보면 복덕이라는 것도 짓고 받는 다는 것도 모두 텅 빈 것이 아니겠는가.
삼천대천세계에 가득 찬 칠보로써 널리 보시한다면 그 복덕이 얼마나 많은 것인가. 그러나 그 복덕을 진실로 있는 것이라고 여겨 그 복덕에 집착하게 된다면 그것은 참된 복덕이 될 수 없다. 그것은 결코 많은 복덕이라고 말할 수 없다. 복덕이 진실로 있는 것이라고 여겼다면 수보리도 여래도 그 복덕을 많이 얻는다고 말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그 복덕이 본래 없는 것이므로 여래는 많은 복덕을 얻는다고 말한 것이다.

삼천대천세계에 가득 찬 칠보로써 보시했다고 하더라도 거기에 ‘내가 보시했다’는 상이 있다면, 그러한 유위의 보시, 유주상의 보시는 결코 많은 복이라고 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복덕이 진실로 있지 않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참으로 많은 복을 얻는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내가 많은 복을 지었다’라는 상에 빠져 있거나, ‘내가 삼천대천세계를 칠보로 가득 채웠다’는 상에 빠져 있다면 그것은 결코 많은 복이 아니다. 유위의 복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삼천대천세계를 칠보로 가득 채운 그 복이 무위가 되었을 때는 그야말로 법계를 다 먹이고도 남으며, 법계를 다 교화하고도 남는 복이 된다. 그랬을 때 그 복은 한량이 없다. 매우 많은 복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그렇듯 많은 복을 얻을 수 있다고 한 이유는 그 복이 진실로 없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그 복이 함이 없는 복이며, 무위의 복이고, 그 양을 셀 수 없기 때문에 많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정말로 많은 것은 ‘얼마만큼’ 많다고 표현될 수 없다. 얼마만큼 많다고 했을 때는 벌써 그것보다 더 많은 것이 가정되어 있는 상태다. 그러니 정말 많은 것은 표현될 수 없다. 정말 많은 것은 어떤 틀이 없다. 어떤 틀을 정해 놓는 것은 유위요, 틀 없이 자유로운 것이 무위다. 그래서 정말 많은 복덕이 되기 위해서는 복덕이 본래 없는 것이라야 한다. 어떤 틀도 없는 것이라야 한다.

텅 빈 허공은 허공이라고 이름 붙였을 뿐이지 허공의 실체는 찾아볼 수 없다. 허공은 허공이 아니기 때문에 허공인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허공을 크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허공이라는 것이 실제 있는 것이라면, 그래서 어떤 실체를 찾아볼 수 있고 눈으로 그 크기나 모양을 확인할 수 있다면 그것을 크다고 말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허공은 실로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허공을 크다고 말할 수 있는 것과 같다.

복덕도 이와 같다. 그래서 부처님께서도 실로 복덕이 있지 않기 때문에 많은 복덕을 얻는다고 말씀하신 것이다. 복덕이라는 것을 우리 눈으로 볼 수 있고, 많은지 적은지를 판가름해 볼 수 있다면 그것을 가지고 많다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 만약 복덕이 진실로 있는 것이라면 여래가 복덕을 많이 얻는다고 말하지 않았을 것이지만, 복덕이 본래 없는 것이므로 여래가 많은 복덕을 얻는다고 말한 것이다.

즉 유위의 복덕은, 아상에 갇힌 복덕은, 아무리 많다 해도 그것은 유위로써 많을 뿐이다. 즉 더 큰 복덕 아래에서는 작은 복덕일 뿐이다. 그러나 무위의 복덕, 아상을 완전히 소멸한 복덕은 그 크기를 젤 수 없기 때문에 참으로 클 수 있는 것이다. 유위의 복덕으로는 삼천대천세계를 칠보로 가득 채워 보시하더라도 많고 적음을 나누어 놓은 가운데 그 중 많은 쪽을 택하는 그런 상대적인 많음이지만, 무위의 복덕은 많고 적음도 사라진, 복덕이 있고 없음도 사라진 절대적인 많음일 수 있는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