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시, 자비로운 나눔 - 연기법의 생활실천(2)
법상스님의 목탁소리

상주 대원정사 일요법회(13:30), 부산 목탁소리 토요법회(13:30)

상주 대원정사 일요법회(13:30) 부산 목탁소리 토요법회(13:30) 자세히보기

불교기본 교리강좌

보시, 자비로운 나눔 - 연기법의 생활실천(2)

목탁 소리 2009. 7. 22. 04:28



이와 같이 일체 모든 존재들이 바로 나를 키워주었고, 자비로운 보살핌으로 나를 살려주었다면 그들에게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 이 우주 법계의 일체 모든 존재들로 인해 내가 살아갈 수 있게 되었고, 보살핌을 받게 되었으며, 먹고 자고 살아갈 자양분을 얻게 되었다면 우리가 이 우주와 세상의 모든 존재들을 향해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이 되겠는가.

감사를 실천하는 것이다. 감사의 마음만 보낼 것이 아니라 온 몸으로 온 마음으로 감사의 실천을 행할 일이다. 이 우주 법계의 은혜에 대한 보답이 바로 보시며 나눔이다.

사실 우주에 대한 보답이라고 하지만, 사실 엄격히 따진다면 보답이라는 말도 필요 없다. 그들이 있기에 내가 있고 내가 있기에 그들이 있으며, 이 우주가 있기에 내가 있고 내가 있으므로 우주가 있다면, 또한 그들이 소멸되면 나도 소멸되고, 우주가 소멸되면 나도 소멸된다면 이 연기적인 삶에 나와 너라는 분별은 이미 사라지고 없다.

내가 곧 너이고 네가 곧 나이며, 내가 곧 우주이고 우주가 곧 나일 수밖에 없는 동체(同體)적인 한생명의 드라마가 펼쳐지는 것이다. 이처럼 연기되어진 모든 것들은 서로가 서로를 살려주고, 서로가 서로의 존재 이유가 되는 한 몸, 한 생명인 것이다.

이와 같이 일체 만유가 모두 한 몸이요, 한 생명이라면 어찌 나와 너라는 나뉨이 있을 수 있겠는가. 나와 너가 없다면 내 것과 네 것이라는 분별도 사라진다. 네가 아픈 것이 곧 내가 아픈 것이며, 네가 굶는 것이 곧 내가 굶는 것일 수밖에 없다.

연기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이 세상의 그 어떤 사람이 기아와 가난에 허덕인다면 그것은 곧 내가 기아와 가난에 허덕이는 것과 다르지 않다. 너의 가난이 곧 나의 가난일 수밖에 없다. 그러니 어찌 베풀지 않을 수 있겠는가. 어찌 나누고 보시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그러나 이런 동체적인 보시는 보시나 나눔이라는 말조차 필요치 않는다. 내가 배고플 때 내가 먹는 것을 가지고 내가 내게 보시한다고 하지 않는 것처럼, 타인에게 베풀더라도 사실 그것은 베풂이 아니라 지극히 자연스러운 행동일 뿐이다. 이것이 바로 동체대비의 참모습이다. 동체대비란 말 그대로 온 우주법계가 한 몸이라는 자각에서 나오는 크나큰 자비를 말한다. 이러한 큰 자비는 자비라는 말조차 쓸 필요가 없는 자비이다.

이러한 동체대비야말로 연기적인 자각 속에서 꽃피어나는 상(相) 없는 자비이다. 너와 내가 둘이 아니라는 자각 속에서 실천되어지는 자비는 아무런 상을 내세울 것도 없고, 티를 낼 것도 없다. 스스로의 자비를 자비라고 치켜세울 것도 없고, 자비를 행하고서 스스로 자비를 행했다고 자랑할 것도 없다. 그것은 너무나도 당연한 행일 뿐이다.

내가 배고프면 내 밥을 먹듯이 누구라도 배고프면 내 밥을 먹여 주는 것이다. 내가 타인을 먹이는 것이지만, 연기법에서는 내가 나를 먹이는 것과 다르지 않다. 그러니 어찌 베풀지 않을 수 있겠는가. 또한 베풀면서 베풀었다는 상을 내세울 수 있겠는가. 연기적인 자각 속에서 베푸는 것은 동체대비요 베풀었다는데 머물지 않는 무주상보시이다. 내 것, 네 것이 따로 없으니 내 것을 너에게 준다는 관념 또한 생길 수 없는 것이다.




연기의 세상에서는 어떤 것도 ‘내 것’이 될 수 없다. 내가 소유할 수 있는 것은 어디에도 없다. 얻을 수 있는 것은 어디에도 없다. 나라는 존재 또한 다만 인연 따라 생겨났다가 인연이 다 하면 소멸될 수밖에 없는 공한 존재, 연기적인 존재일진데 내 소유가 어디에 붙을 수 있겠는가. 나도 없고 내 소유도 없으며 내가 얻을 수 있는 것은 어디에도 없다. 연기로 바라본 이 세상의 본질에는 무아(無我), 무소득(無所得), 무소유(無所有)의 덕목이 있다. 나도 없고, 내가 얻을 바도 없으며, 내가 소유할 수 있는 것은 어디에도 없다.

인연 따라 다만 나라는 존재도 태어나고 늙고 병들고 죽어가는 존재일 뿐이며, 내 소유라는 것도 잠시 인연 따라 내게로 왔다가 잠시 머무른 뒤 어김없이 소멸될 수밖에 없는 것들이다. 연기되어진 모든 것들은 무아요, 무소득이며, 무소유한 것일 뿐이다.

그런데 어찌 ‘내 것’이라고 가두어 둘 수 있겠는가. 내 소유를 늘려나가는데 집착할 이유가 없다. 내가 가지고 있는 모든 것들은 내 소유가 아니라, 말 그대로 인연 따라 나에게로 잠시 온 것일 뿐이다. 그리고 그렇게 잠시 내게 온 것들조차 사실은 내 것이 아니라 ‘우리 모두의 것’이며, 이 우주 전체의 것일 뿐이다.

우주의 것이 인연 따라 내게도 오고 너에게도 가는 것이다. 그러니 우리는 인연 따라 필요한 곳에 필요한 것이 있도록 하는 것 외에는 할 것이 없다. 상대에게 그것이 필요하면 그것을 내어줄 뿐이다. 그렇게 내어 주고 나서도 내가 상대에게 주었다는 상을 낼 이유가 없다. 그것은 다만 인연 따라 있어야 할 자리에 간 것일 뿐이다. 내가 네가 준 것이 아니다. 그것이 있어야 할 그 자리에 있을 수 있도록 다만 나는 도왔을 뿐이다.

그러니 이러한 연기의 세계에서 보시는 보시가 아니다. 보시를 하고서도 보시했다는 상이 생길 여지가 없다. 이러한 보시야말로 연기적인 보시요, 동체대비의 깨달음에 입각한 보시인 것이다.

연기를 깨달으면 이처럼 동체대비의 보시행이 저절로 삶의 방식이 된다. 그러나 연기를 깨닫지 못했더라도 반대로 상 없는 무주상보시를 끊임없이 행하면 보시의 실천행 속에서 연기적인 자각이 꽃피어난다. 그러니 보시행, 자비로운 나눔이야말로 연기법을 실천하고, 연기를 깨닫는데 있어 중요한 실천적인 요소가 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