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공
처음 이러한 오온설이 대두된 것은 무아(無我)의 이론을 뒷받침하기 위해서였습니다. 다시 말해, 오온 이론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존재란 5개의 요소로 이루어져 있고, 이 각 요소들은 모두 비실체적인 것이므로 이와 같은 요소들로 이루어진 인간 존재 역시 비실체적인 존재, 즉 무아란 것입니다. 이러한 각각의 오온에는 고정 불변적인 것은 아무 것도 없습니다. 그래서, 경전에서 비유하기를, 색은 거품덩이 같고, 수는 거품방울 같고, 상은 신기루 같고, 행은 바나나줄기 같고, 식은 허깨비 같은 것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서 부처님께서는, “비구들아, 무상한 색・수・상・행・식을 무상하다고 보면 올바른 견해를 얻는다. 색수상행식에는 실체도 없고 본질도 없다. 어떻게 오온에 실체와 본질이 있겠는가. 오온은 무상하다. 이것들이 일어나게 한 원인과 조건들 또한 무상하다. 비구들아, 무상한 것에서 일어난 것들이 어떻게 영원하겠는가? 모인 것은 모두 흩어지게 마련이다.” 라고 지적하고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이 오온설은 무아이론을 뒷받침하는 것이며, 이러한 오온무아설은 불교 가르침의 핵심인 고(苦)의 문제를 해결해주는 해답이 되는 것입니다. 부처님께서는, 괴로움은 욕망 때문에 생기고, 욕망은 ‘내가 존재한다는 생각’ 때문에 발생한다고 하셨습니다. 즉, ‘내가 존재한다는 생각’, ‘나다’라고 하는 생각이 괴로움의 근본 원인이라고 하셨습니다. ‘나다’라는 생각도 없고, ‘나의 것’이라는 생각, ‘내가 옳다’라는 생각이 없다는 것을 확실히 이해한다면 우리들은 무엇에 집착할 것이며, 누구에게 화를 내고, 질투를 하고, 두려움을 느낄 것이겠습니까? 이렇듯 무아의 이론은 ‘나다’라는 생각을 깨기 위해서 대두된 가르침인 것입니다.
그러면, 좀 더 쉽게 현대 과학을 예로 들어 공(空)을 설명해 보겠습니다. 하나의 나무, 돌, 아니 그보다 더 단단한 고철덩이가 있다고 해 봅니다. 이것은 꽉 차 있는 것처럼 보일 것입니다. 그러나, 미세한 전자 현미경으로 살펴보면, 이것은 모두가 분자와 분자의 결합이며, 또한 그 분자도 자세히 쪼개 보면 원자와 원자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손가락 만한 물체도 사실은 10의 24 제곱 개, 즉, 억(億)의 억의 억 개 정도의 원자들로 구성되어 있다고 합니다. 원자 또한 원자핵과 전자라는 것으로 쪼개집니다. 원자핵은 다시 양성자와 중성자가 결합되어 양의 전하를 띠게 되며, 전자는 음전하를 가지고 있습니다. 모든 물질은 바로 이처럼 분자, 전자, 그리고 더 미세하게는 원자핵과 전자라는 극히 작은 입자들이 모여 잠시 잠깐도 머무르지 않고 움직이고 있는 것입니다. 움직이고 있다는 것은 계속해서 변화하고 있다는 말입니다. 우리가 느끼기에는 고정되어 있는 것 같은 나무나 돌들도 실제로는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항상 변화하는 것, 무상(無常)한 것을 보고 어떻게 고정된 실체라고 할 수 있겠습니까.
또한, 이러한 전자 따위의 입자들은, 질량을 가지는 작은 덩어리이지만, 이것은 파동이라는 작은 떨림으로 바뀔 수 있다고 합니다. 다시 말해, 물질이 에너지로 바뀔 수 있다는 말입니다. 이 또한 ‘모든 것은 변화한다’는 사실을 확인시켜 주고 있는 것입니다. 고정된 입자라고 생각한 것이 어느새 파동이라는 떨림으로 바뀔 수 있다는 것은, 곧, 어느 것도 고정된 것은 있을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렇기에 공(空)한 것입니다.
오온개공의 실천 수행
그러면 먼저 이상의 내용을 ‘아상’의 관점에서 좀 더 구체적 실천 수행의 방향으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오온개공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아상 타파’가 수행의 관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아상을 타파하기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까? 바로 이 점이 불교 수행의 핵심임을 바로 알아야 할 것입니다.
우선 첫째로 이 몸을 보고, ‘나다’ 라고 하는 것을 타파해야 합니다. 몸뚱이 집착심을 없애야 한다는 말입니다. 몸뚱이란 아상이 생기는 첫 번째 요인입니다. 내가 없다고, 공하다고 아무리 강조해도 이렇게 몸뚱이가 있는 것을 보고 누가 없다고 할 수 있겠습니까. 이 몸에 대한 애착 내지 집착을 여의려면 끊임없이 닦아가는 정진의 수행이 요구됩니다. ‘나’ 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인해 몸을 편하게 하려는 마음이 생기고, 그 마음은 우리를 게으름과 나태로 몰고 갑니다. 내 몸 하나 편해 보자고 하는 마음이야말로 몸에 대한 애착심입니다. 그러므로 항상 이 몸을 부지런히 움직여 아상을 거스르는 생활을 해야 합니다. 수행자들이 이른 새벽부터 일어나 규칙적인 수행과 정진으로 매진하는 이유도 바로 이 몸뚱이 착심이란 아상을 닦기 위한 수행입니다.
두 번째로 ‘내 것이다’라고 하는 물질적인 소유욕을 버려야 합니다. ‘아상’에 기초하여 나와 너를 가르는 마음이 있으니, 내 것, 네 것이라는 관념이 생기게 되고, 좋아하는 것을 보면 내 것으로 만들기 위해 노력합니다. 사실 본래부터 내 것이고, 네 것이 어디에 있겠습니까? 다만 인연을 좇아서 물처럼 잠시 오고, 잠시 가는 것일 뿐입니다. 우리의 삶은 내 것으로 만들고자 하는 마음이 중심이 되어 모든 행을 하게 됩니다. 돈을 많이 벌어 내 것으로 하고 싶고, 좀 더 높은 명예와 지위를 가지기를 바라며, 좋은 친구, 동료를 가지기를 바라고, 좋은 배우자를 선택하기를 바라기 마련입니다. 이러한 행위 자체가 모두 아상에 기초한 것이므로 버리라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우리는 이렇게 돈이나 명예, 그리고 사람들을 내 것으로 하고자 하는 소유욕이 있으니, 그것들이 무상한 줄을 올바로 알아 얽매여 집착하는 마음을 버리자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거기에 대한 집착을 놓으라는 것입니다. 바로 방하착하라는 것입니다. ‘내 것이다’라는 아상이 없다면, 그것을 가지고 있을 경우 인연 따라 온 것임을 알아 잘 활용할 수 있고, 없어지더라도 내 것이라는 집착이 없으므로 괴롭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내 것이다’라는 상을 타파하기 위한 창조적이고 능동적인 삶의 방법이 바로 무주상보시의 삶입니다. 상에 머무름 없이 보시를 한다는 말입니다. ‘남에게 보시만 하면 나는 무얼 먹고 사나?’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나에게 있는 모든 것을 남에게 상없이 보시하여 내가 무소유가 되었을 때, 진정 우주 법계를 내가 소유하는 것이란 이치를 깨치게 될 것입니다. 저축을 하십시오. 저축을 하되, 나에게 하지 말고, 이 우주 법계에 상없이 저축을 하는 것입니다. 통장에 저축하면 그 액수만큼만 내 것이지만, 일체의 모든 대상에게 상없이 보시함으로써 저축을 삼으면, 그 사람은 법계를 품에 안은 것입니다. 이 사람에게는 무량대복(無量大福)이 따릅니다. 무량대복자란, 나에게 있는 재산만을 쓸 수 있는 사람이 아니고, 내가 필요할 때 언제고 필요한 만큼의 재산을 법계에서 끌어다 쓸 수 있는 사람입니다.
세 번째로 ‘내가 옳다’ 라는 나의 생각에 대한 고집, 고정관념, 선입견에 고집하는 것을 버려야 합니다. 우리는, 우리가 정해 놓거나, 혹은 사회가 정해놓은 고정된 관념의 사슬에 얽매여 자유롭지 못한 삶을 살고 있습니다. 옳고 그르다는 것이 본래로 없는데, 우리는 내 생각이 옳다고 고집을 하여 내 생각대로 되지 않을 때 괴로움을 느끼게 됩니다. 또한 고정관념에 빠져 그 관념대로 되지 않을 때 괴로움을 느끼게 됩니다. 진정 대자유인이 되어 걸림없이 자유인으로 살려면 우선 고정된 틀 속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나에 대한 집착심이 곧 고정관념[편견, 선입견]이며, 고정관념이 극단화된 것이 바로 아집입니다. 그러므로, ‘편견으로 보지 말고 있는 그대로 보라, 正見하라’고 하는 것입니다. 이처럼 공 사상은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연기의 사상, 무아의 사상에 철저히 충실한 사상입니다. 본래 연기의 존재이며 텅 비어 있는 공으로서 적정한 우리의 마음에 우리는 언제부터인가 무언가를 자꾸만 집어넣으려고 노력해 왔습니다. 온갖 분별심을 가지고 편견과 고정관념의 벽을 만들어 놓고는 스스로 만든 벽에 부딪쳐 힘들어하고 괴로워해 온 것이 우리들의 삶입니다. 이러한 고정관념의 벽이 있기에 우리는 진정으로 자유롭지 못했고 괴로웠던 것을 이제 올바로 깨쳐야 합니다.
좋고 나쁜 것, 선과 악, 자유와 부자유는 우리 스스로 만든 것일 뿐입니다. 이제 어떠한 극단적 편견으로부터도 자유로울 수 있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 너와 내가 서로 둘이 아닌 존재로서 연기의 존재라는 것을 올바로 알아 어디에도 치우치지 않는 중도의 삶을 살고, 어떠한 분별심도 ‘턱’ 내려 놓을 수 있는 삶, 본래로 텅 비어 있기에 일체의 무거운 짐을 본래 자리에 내려놓고 가는 삶이야말로 공 사상이 우리에게 가르쳐주는 생활 속의 실천 수행인 것입니다. 그것이 바로 방하착(放下着)입니다.
방하착(放下着)이란 무엇인가? ‘방(放)’은 ‘놓는다’는 뜻이며, 착(着)은 ‘집착, 걸림’을 말합니다. 즉, 공이라는 도리를 올바로 알지 못하고, 온갖 것들에 걸려 집착하는 것을 착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하(下)라는 것은 ‘아래’라는 의미이지만, 그 아래는 보통 ‘밑’을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모든 존재의 가장 깊은 곳, 그 ‘아래’에 있는 뿌리와도 같은 우리의 ‘불성, 한마음, 본래 면목’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방하착은 공이라는 이치를 올바로 모르고 있기에 저지를 수 있는 우리 마음속의 온갖 집착들을 모두 마음의 바탕 자리, 본래 면목의 한마음 자리에 놓아버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일체의 끄달림을 놓는 것입니다. 놓되 ‘몰록’ ‘온전히’ 놓아버리는 것입니다. 하나도 남기지 않고, 몽땅 놓아버리는 것입니다. 용광로 속에는 그 어떤 더럽고 녹슨 고철이라도 넣기만 하면 모두 용광로와 하나가 되어 녹게 마련입니다. 그렇듯, 우리의 마음자리, 본래 면목, 참 주인공도 그와 같아 우리의 수많은 번뇌와 업장들을 모두 녹이기 마련입니다. 문제는, 이 모두를 스스로 놓아버릴 수 있는가 하는 것입니다. 놓으면 되지만 놓지를 못하는 것이 문제입니다.
우 리들의 삶을 되돌아보면 어떻습니까? 지금까지 우리의 삶은 끊임없이 붙잡기만 하는 삶이었습니다. 돈과 재물을 붙잡고, 지식을 붙잡고, 명예와 지위를 붙잡고, 이 모든 것들에 ‘내 것’이라는 상을 짓고, 빼앗기지 않으려고 애를 쓰며 살아왔습니다. 한 번도 ‘턱’ 놓아본 적이 없습니다. 그렇기에, 놓으면 큰일이 나고, 죽는 줄로만 잘못 알고 있는 것입니다. 내 것, 내 가족, 내 돈, 내 생각, 내 가치관 등등 ‘나’라는 의식으로 인해 모든 것을 가지려는 삶을 살아온 것입니다. ‘가지고 붙들려는 삶’을 ‘놓는 삶’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정말이지 커다란 의식의 전환이 필요합니다. 붙들었을 때 잘 되는 것이 아니라, 놓았을 때 진정 잘 되어 나가는 것이라는 의식의 전환 말입니다. 일체를 소유하지 않았을 때, 진정으로 무소유가 되었을 때 이 우주 전체를 소유하게 된다는 소중한 도리를 알아야 한다는 말입니다.
까짓 일체가 공(空)인 마당에 무엇이 아까울 것이 있겠습니까? 공과 하나가 되었을 때, 우리 마음속에 본래 자리잡고 있던 밝은 지혜가 환히 드러나게 되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반야(般若)’ 지혜인 것입니다. 그러므로, 반야바라밀 수행은 무소득(無所得), 무소유(無所有), 무집착(無執着), 방하착(放下着)의 수행이며, 공과 하나가 되는 수행인 것입니다. 이것이 반야심경이 우리에게 던지는 실천 수행의 길인 것입니다. 일체를 놓는 것, 이것이 바로 반야바라밀입니다. 방하착입니다.
'반야심경 마음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리자 색불이공 공불이색 색즉시공 공즉시색 수상행식 역부여시 (0) | 2008.03.13 |
---|---|
도일체고액 (0) | 2008.03.08 |
오온 (1) | 2008.01.10 |
관자재보살 행심바라밀다시 조견 (1) | 2008.01.09 |
바라밀다 심경 (0) | 2007.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