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혜로운 4가지 삶의 방식
법상스님의 목탁소리

상주 대원정사 일요법회(13:30), 부산 목탁소리 토요법회(13:30)

상주 대원정사 일요법회(13:30) 부산 목탁소리 토요법회(13:30) 자세히보기

마음공부 생활수행

지혜로운 4가지 삶의 방식

목탁 소리 2015. 7. 24. 09:30
반응형

 

 

 

나는 늘 네 가지 삶을 꿈꾸고 산다. 내가 원을 세우고 실천하고자 노력하는 삶, 그것은 바로 '깨어있는 삶' '조화로운 삶' '소박한 삶' 그리고 '나누는 삶'이다. 난 이 네 가지 삶이 내 안에 깊이 파도쳐 들어 와 세포가 되고 골수가 되며 우뚝 선 정신이 되기를 늘 서원하고 있다.

먼저 '깨어있는 삶'이란, 불교 수행자라면 누구나 잘 알고 있듯이 지관止觀과 정혜定慧, 즉 마음을 비우고 알아차리는, 집착을 버리고 비추어 보는 두 가지 수행을 말한다. 깨어있으려면 마음에 번뇌와 집착, 욕심과 바람을 먼저 비울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마음의 온갖 번뇌를 비우고자 한다면 있는 그대로 잘 지켜보면 된다. 번뇌며 욕심, 집착이며 바램들을 있는 그대로 잘 지켜보면 애써 비우고 없애려고 애쓰지 않아도 저절로 사라지게 마련이다. 그래서 깨어있는 삶이 중요한 것이다. 매 순간 깨어있으면 그 자리에서 자족自足과 평화를 얻게 되며 나아가 지혜를 증득하게 된다. 조금 쉽게 말해 깨어있는 삶이란, 거창한 수행이 아니라, 매 순간 생각과 망상 분별 속에만 사로잡혀 있는 그대로의 진짜 삶을 살지 못하고 생각 속에 허상으로 지어진 가짜 인생을 살던 것을 돌이켜 있는 그대로의 존재감을 느껴보는 것 즉 ‘본래적인 천연의 있음’의 속으로 들어가는 것을 말한다. 아무 것도 하지 않고, 생각과 망상도 내려놓고 그저 이렇게 이대로 있는 그대로 있어주는 것이다.

두 번째 내가 꿈꾸는 삶은 바로 '조화로운 삶'이다. 대자연과의 공존과 공생, 생명 있고 없는 모든 것들과의 조화로운 관계 속에서 살아가는 삶, 즉 대자연이라는 비로자나 진법신眞法身과 조화를 이루며 사는 삶이다. 산과 들, 나무와 들풀, 계곡과 숲, 그리고 모든 짐승과 곤충들을 비롯한 모든 대자연 식구들과 둘로 나뉘지 않으며 서로 조화를 이루고 공존하며 살아가는 삶. 그것이야말로 이 세상에서 모든 사람, 모든 생명이 지속가능한 평화를 이루며 살아갈 수 있게 해 주는 삶이다. 대자연에 마음을 두게 되면 욕망과 이기는 저절로 소멸된다.

세 번째는 '소박한 삶'이다. 이것은 청빈, 가난, 자족, 절약의 정신과도 맞닿아 있다. 스스로 만족하며, 절제와 절약을 지키며, 최소한의 필요에 따른 소박하고 가난한 삶을 살아가는 것. 그것이야말로 우리 인간의 정신을 가장 고귀하게 일깨워주며 속 뜰의 본래 향기를 환히 밝혀주는 삶의 본보기다. 요즘같이 청빈의 정신이 고갈되어 있는 이 때에 스스로 가난을 선택할 수 있는 용기와 지혜야말로 가장 소중한 덕목이다.

네 번째는 '나누는 삶'이다. 스스로 아무리 행복하고 만족한들 이웃의 불행과 가난, 기아와 질병 등을 외면하고 방치한다면 그것은 진정 건강한 부유함도, 참된 행복도 아니다. 내가 행복하게 밥을 먹고 공부하고 있는 이 순간도 이 세상 다른 곳에서는 수많은 이들이 가난과 기아에 헐벗어 굶주리고 죽어가고 있다. 깨달음을 얻었다 한들 그것이 세상으로 회향回向되어지지 않는다면 그것은 참된 지혜가 아니다. 참된 지혜는 이 세상의 아픔이 바로 나의 아픔이기에 내 것과 네 것이라는 차별이 없는 동체대비同體大悲의 자비정신이다. 너와 내가 둘이 아니라는 동체에서 나오는 대자대비의 정신이야말로 나 자신과 이웃, 이 온 세계를 밝히는 지혜와 자비의 근본정신이자 실천행이다.

이상의 네 가지 삶의 모습, 나는 이 말만 들어도 가슴이 부풀어 오르고 설렌다. 물론 아직 그런 삶과 일치하지 못한 나의 모습이 부끄럽긴 하지만 그래도 내 삶에 지침이 되는 이 길이 있기에 늘 행복하다. 이따금 이 네 가지 삶의 모습에 나 자신을 비추어 보며 내 삶이 올바로 가고 있는가 스스로 점검하곤 한다. 때때로 삶의 발길을 멈추고 자신을 점검해 보자. 나는 과연 얼마나 깨어있는, 조화로운, 소박한, 나누는 삶을 실천하고 있는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