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리자 색불이공 공불이색 색즉시공 공즉시색 수상행식 역부여시
법상스님의 목탁소리

상주 대원정사 일요법회(13:30), 부산 목탁소리 토요법회(13:30)

상주 대원정사 일요법회(13:30) 부산 목탁소리 토요법회(13:30) 자세히보기

반야심경 마음공부

사리자 색불이공 공불이색 색즉시공 공즉시색 수상행식 역부여시

목탁 소리 2008. 3. 13. 12:09
반응형
 

사리자 색불이공 공불이색 색즉시공 공즉시색

수상행식 역부여시


사리자(舍利子)


 사리자는 반야심경에서 관자재보살의 설법을 듣는 사람으로, 소승불교를 대표하는 상징적 인물로 등장하고 있습니다. 즉, 사리자는 오온이 모두 공하여 실체가 없다는 참 의미를 명확히 이해하지 못한 인물로 묘사되고 있으며, 이러한 어리석음을 깨우치기 위해 관자재보살이 법을 설하고 있는 광경을 설정하고 있는 것입니다.

 사리자는 사리불(舍利弗)이라고도 하며, 범어로 사리푸트라(Sariputra)라고 하는데, 취자(鷲子)라고 번역합니다. 음을 그대로 옮기면, 사리불(舍利弗) 또는 사리자(舍利子)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사리자는 부처님의 십대제자 중의 한 사람으로, 지혜제일의 제자입니다. 최근 출판된 자이나 교의 옛 전승(傳承)인 『이시바샤임』이란 책에는, ‘붓다 아라핫트 선인인 사리불의 가르침’이라는 것이 적혀 있는 것으로 보아, 당시 자이나 교를 비롯한 다른 교단에서는 사리불을 부처님으로 생각하고 있었던 듯 합니다. 그만큼 사리불은 부처님 제자들 가운데 지혜가 뛰어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어찌 되었든, 이처럼 교단에서 지혜가 가장 출중한 사리불이 반야심경에 등장하여 관자재보살로부터 반야 지혜에 대한 법문을 듣는 것은, 반야심경의 반야지혜야말로 사리불의 지혜보다 더 큰 대지혜를 의미한다는 것을 상징하고 있는 것이라 해석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색불이공 공불이색 색즉시공 공즉시색


 이제부터 반야심경에 나타난 공(空) 사상의 본격적인 법문이 시작됩니다. 바로 이 부분, ‘색불이공 공불이색 색즉시공 공즉시색’은, 서론의 핵심 사상인 ‘조견오온개공’의 이치를 보다 자세하고 극명하게 나타내 주고 있습니다. ‘색불이공 공불이색’과 ‘색즉시공 공즉시색’의 의미는 어찌 보면 비슷한 의미인 듯 합니다. 그러나, 이 말들이 만약 똑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면, 굳이 네 번이나 반복할 필요가 없었을 것입니다.

 앞의 ‘색불이공 공불이색’은, 모든 반야경에서 공의 이해를 위해 자주 사용되는, ‘불(不)’이라는 부정의 단어로 표현하고 있으며, 뒤의 ‘색즉시공 공즉시색’은, ‘즉(卽)’을 통해 긍정의 논리를 펴고 있습니다. 또한, ‘색불이공 공불이색’은 시간적 관점에서 색이 공하다는 무상을 설명했으며, ‘색즉시공 공즉시색’은 공간적 관점에서 무아를 설명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 두 논리의 차이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기 위해 화엄의 ‘사법계(四法界)’를 잠시 빌린다면, ‘색불이공 공불이색’은 ‘이사무애법계(理事無碍法界)’를 그리고 있고, ‘색즉시공 공즉시색’은 ‘사사무애법계(事事無碍法界)’에 빗대어 설명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와 같은 차이와 그 내용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색불이공 공불이색

 색불이공 공불이색이란, 지금은 물질들이 제각기의 인연으로 인해 각기 다른 특성을 가지고 이루어져 존재하는 것처럼 여겨지더라도, 시간적으로 보면 언젠가는 인과 연이 다하여 반드시 멸하는 것이기에 공(空)하다고 결론짓는 것입니다. 즉, 지금 내 앞에 있는 시계, 책상, 혹은 내 사랑하는 연인 등의 물질적 색(色)의 존재도, 지금은 실재(實在)하는 것처럼 여겨지지만, 시간이 흐르게 되면 반드시 인과 연이 다해 멸할 것이 분명하다는 것입니다. 즉, 인연생이므로 인과 연이 다하면 공으로 되돌아간다는 것입니다.

 이처럼, 시간의 관점에서 볼 때, 어떠한 물질적 개념도 공으로 변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지금으로서는 색으로서의 특성을 인정해야 하고, 지금 당장에는 공이 아니기 때문에, 부득이 부정의 논리로서 설명하고 있는 것입니다. 색이 바로 공이라는 것은, 시계가 공(空)이고, 책상이 공이고, 애인이 공이라는 것이기에 자칫 혼란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색이 공과 다르지 않다는 표현에서는, 완전히 같다는 의미가 아니고 다만 다르지 않다는 것만을 의미하며, 언젠가는 다르지 않음이 증명될 것이라는 점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즉 언젠가는 공이 될 것이라는 말이기도 한 것입니다.

 공이라는 것은, 이미 말했듯이, 연기하는 존재라는 것, 그리고 스스로의 자성(自性)이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이것을 다시 말한다면, 색이라는 것은 모두 연기되어진 존재로서, 스스로의 자성이 없으므로 공이라는 것입니다. 여기에서 색이란 우리의 사량으로 분별할 수 있는 현상계를 의미하는데, 이것을 화엄의 사법계(四法界)에서는 사법계(事法界)라고 하며, 공이라는 것은 그 현상계를 유지하고 있는 바탕으로서의 이치의 세계를 말하는 것으로, 이법계(理法界)라고 부릅니다.

 여기에서 말하고 있는 ‘색불이공 공불이색’이라는 것은, 색이 공과 다르지 않으며, 공이 색과 다르지 않다는 논리를 통해, 이(理)와 사(事)가 서로 걸림이 없다는 화엄의 ‘이사무애법계’에 빗대어 설명할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의 눈에는 이법계와 사법계가 나뉘어 보이지만, 즉, 공과 색이 다르게 보이지만, 사실은 이법계와 사법계가, 그리고, 공과 색이 서로 다르지 않다는 논리를 펴고 있는 것입니다. 이것은 앞에서도 설명했듯이, 시간적인 개념에서 본 무상의 이치를 바탕에 깔고 이해해야 할 것입니다.

 그러면, ‘색불이공’만 이야기하면 될텐데, 다시한번 ‘공불이색’이라고 언급하고 있는 문제에 대해 생각해 보지 않을 수 없습니다. 우선 반야심경에서는, 색, 다시 말해 우리의 눈에 보이는 현실에 대하여, 공과 다르지 않은 것이라고 말하여 현상계를 부정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렇게 색이 공과 다르지 않다는 부정만으로는 허무주의에 빠지기 쉽고, 한 쪽으로 치우칠 우려가 있기에 다시한번 현실을 긍정하고 있는 것입니다. 어쨌든, 색이 공이라고 부정을 하고, 그 부정인 공이 다시 색과 다르지 않은 것이라고 긍정을 함으로써, 부정과 긍정 모두의 극단을 떠난 절대 긍정을 나타내고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난 후, 다음에 ‘색즉시공 공즉시색’이라는 강한 긍정의 논리를 펴고 있는 것입니다.


색즉시공 공즉시색

 ‘색이 곧 공이고, 공이 곧 색’이라는 논리는 공간적인 무아의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고 앞에서 설명하였으며, 강한 긍정의 논리라는 말을 하였습니다. 즉, 물질적 존재인 색은, 바로 지금 이 순간 여지없는 공이라는 것입니다. 이 공간 내에서 이해할 수 있는 공이라는 것입니다. 앞의 논리처럼 시간적으로 미래에는 공일 것이라는 막연한 이야기가 아니라, 바로 이 공간에서의 공이라는 이야기인 것입니다.

 앞에서 공이란 것은 연기하는 것이며, 무자성(無自性)이고, 무아라는 것을 이야기 한 바 있습니다. 다시 말해, 공은 무아를 의미합니다. ‘색즉시공 공즉시색’은, 색이 곧 무아(無我)라는 말입니다. 즉 시계, 책상, 사람 등의 물질적 존재인 색은, 미래에 인연이 다하여 흩어질 것이기에 공이기도 하지만, 바로 지금 그 모습이 공이라는 논리인 것입니다.

 시계라고 했을 때, 이 시계는 시계침, 플라스틱 케이스, 나사, 건전지 등이 인연화합으로 모여 만들어진 물질입니다. 그러나 각각의 부품들 하나 하나를 가지고 시계라고 할 수는 없는 것입니다. 시계 케이스만을 가지고 시계라고 할 수도 없고, 시계침만을 가지고 시계라고 할 수고 없는 것이며, 시계라는 것이 성립되기 위해서는 이 모든 부속품들이 모여 인과 연이 맞는 부품들끼리 짜 맞추어 졌을 때, 비로소 시계일 수 있는 것입니다. 이렇게 제각기 다른 모든 부품들을 잘 결합시켜 시계라는 색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연기라는 법칙이 필요합니다. 요컨대, 공의 성질, 연기의 성질, 무자성의 성질이 바탕되어야만 비로소 시계가 성립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결국 시계가 성립할 수 있는 토대가 되는 것은 바로 공의 바탕 위에서인 것입니다. 그러므로, 색이 곧 공이며, 공이 곧 색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화엄의 사법계(四法界)를 기준으로 본다면 사사무애법계와 연관지어 설명할 수 있을 것입니다. 즉, 공[理法界]과 공이 서로 걸림이 없이 무애한 것처럼, 색[事法界]과 색도 서로 걸림이 없이 무애하다는 논리입니다. 색이 곧 공이며, 공이 곧 색이기 때문입니다. 이것이야말로 대긍정의 논리이며, ‘이 우주가 서로 걸림 없는 무애’라는 법계의 본래 성품을 잘 보여주고 있는 대목인 것입니다. 이러한 논리가 좀더 발전되어 화엄에서는 ‘일즉일체다즉일’, ‘일미진중함시방’이라는 논리까지로 확대될 수 있었던 것입니다.

 ‘색즉시공’의 논리를 말하고 나서 다시 ‘공즉시색’이라고 한 것은, 앞의 그것과 같이, ‘색이 곧 공’이라고 부정한 데서 한 걸음 나아가 ‘공은 바로 색’이라는 대긍정을 통해 절대 긍정의 논리를 펴기 위함입니다.


수상행식 역부여시

 이상의 논리에서는 색에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여기에 오면 물질적인 것뿐 아니라 정신적인 것까지도 모두 포함하여 공이라고 설명합니다. 즉 수, 상, 행, 식 모두를 앞의 논리에서 색에 대비할 수 있으니, 다음과 같습니다.

수불이공(受不二空) 공불이수, 수즉시공(受卽是空) 공즉시수

상불이공(想不二空) 공불이상, 상즉시공(想卽是空) 공즉시상

행불이공(行不二空) 공불이행, 행즉시공(行卽是空) 공즉시행

식불이공(識不二空) 공불이식, 식즉시공(識卽是空) 공즉시식

 이것은, 다시 말하면, 오온, 즉 일체제법인 물질, 정신적 존재는 모두 공과 다르지 않고, 공이 또한 일체제법과 다르지 않으며, 일체제법이 곧 공이고, 공이 곧 일체제법이라는 논리와 같습니다. 이것은, 결국, 일체제법은 시간적으로 제행무상이며, 공간적으로 제법무아이고, 그렇기에 연기적 존재라는 말과 다르지 않은 것입니다. 연기법의 시간적 해석이 바로 제행무상이고, 공간적 이해가 바로 제법무아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대승의 반야 공 사상이 바로 연기의 사상을 드러내 보이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일체의 제법은 연기하는 존재로서, 모두가 공이며, 무자성이고, 무분별, 무아, 중도라는 중관(中觀) 사상도 이 반야경의 공 사상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물질인 색에서 보았을 때, 색불이공 공불이색 색즉시공 공즉시색이며 정신인 수상행식 또한 이와 같이 공과 다르지 않고 곧 공이라는 말입니다. 이상 수상행식이 공한 논리에 대해서는 앞서 ''오온개공''에서 ''오온''을 설명할 때 자세히 살펴보았으며, 수행행식이 ''불이공''이고 ''즉시공''인 연유는 앞의 ''색''과 같은 논리로 설명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수상행식'' 또한 이와 같다는 정도로 이해하고 넘어갈까 합니다.    5월 18일 보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