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길을 거닐며, 자연관찰
법상스님의 목탁소리

상주 대원정사 일요법회(13:30), 부산 목탁소리 토요법회(13:30)

상주 대원정사 일요법회(13:30) 부산 목탁소리 토요법회(13:30) 자세히보기

자연관찰 감성일기

산길을 거닐며, 자연관찰

목탁 소리 2009. 8. 31. 09:21
반응형



[꽃마리]

요즈음은
내가 살고 있는 이 밝은도량 주위
자연의 새로운 모습을 관찰하는 것이
나의 일상이 되어버렸다.

이 도량에
또다른 사랑이
마음 속에서 싹튼다.

봄이 오고
산에 도량에 꽃이 피니
그야말로 무릉도원이 따로 없다.

이렇게 달라질 수 있을까...
이래서 봄이란
사람들 마음을 생기롭게 움트게 하는 계절.

연한 초록의 산빛이
내 마음을 설레게 한다.
그냥... 어찌 할 수 없게 만든다.

정말이지
하루가 다르게 변한다는 말이 실감난다.
온갖 꽃들이
앞다투어 핀다는 말도 그냥 가슴에 팍팍 와 닿는다.

수많은 야생화들하고
나무에서 피어나는 꽃들
그리고 새순이며 약초들 봄나물들이
얼마나 화알짝 신명나게 피어있는지
하루 종일 거닐며 바라만 보아도 도무지 질리지 않는다.

더구나
봄이 되고 보니
더욱 이 산의 멋스러움과 소중함이 더하다.

얼핏 보면
그냥 얕은 산이고
멋 없는 산일지 모르지만
이 산엔 그야말로 없는 것 없이 다 있다고 하면
조금 과정이 될지 모르겠지만 그렇게 불러주고 싶을 정도.

온갖 작고 앙증맞은 야생화가
군락을 지어 피어오른 곳이 곳곳이고,
-이름을 명확하게 다 모르는 것이 너무 애석-

또한 작고 앙증맞은
우리꽃의 아름다움을 마음껏 뽐내고 있는 꽃들로
주름잎, 꽃마리, 냉이꽃, 꽃다지, 민들레,
제비꽃, 하얀 각시제비꽃, 양지꽃,
뱀딸기꽃, 별꽃, 산괴불주머니...
등이 피어있고,

나무도 주로
참나무, 밤나무, 자작나무, 오동나무 정도인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곳곳에 예쁜 꽃들을 피워내는
이름모를 나무들이 봄 연출에 한창이고,

봄 밥상을 풍성하게 해 주는
두릅나무 새순도 막 올라와 있고,
고사리도 막 올라오고 있으며,
참나물 원추리 돋나물 민들레 제비꽃 꼭두서니 쑥 고들빼기도
봄나물로 무쳐 먹으니 입맛이 돈다.

민들레나 고들빼기는
쓴 봄나물의 명성을 확인이라도 시켜주는 듯
야생의 그것이라 그런지
시장에서 파는 재배된 봄나물에 비해
써도 너무 쓰다는 생각이 든다.

여름이란 계절에
너무 더워 수분이 많은
수박이나 참외 같은 것이 많이 나오듯,
봄에는
춘곤증 같은데 좋은
쓴 나물 들이 많이 나온다고,
봄에 쓴 나물들은
법계에서 내려 준 선물이라고 하더니 정말 그런가.

요즘 재배되는 나물이며 채소들은
그야말로 온실에서 고이 자라다 보니
모든 채소들이 거의 천편일률적으로 비슷한 맛이고,
거의가 연하고 질기지를 못하며,
저마다 특유의 쓴맛이라던가 특유의 향들이
많이 사라져 버렸다.

똑같은 비료주고, 똑같은 거름주고
늘 똑같은 땅에서 키워지니
맛도 다 똑같지 않을 수 없을 것이고,
온실이나 검은비닐 같은 것으로
경쟁할 수 있는 다른 풀들이 아주 자라지 못하게 막아 놓고,
심지어 재초제로 채소외의 다른 것들은 다 죽게 해 버리니
경쟁할 수 없어 생명력이 약화되고
연하고 당장 입에는 질기지 않고 달지 모르겠지만
그 내적인 생명력은 그냥 작살이 나고 마는 것이다.

사람도 저마다 특유의 삶이 있고, 향기가 있어야 한다.
자기 자신만이 가지는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자신의 삶을 살아갈 때
그는 그 자신의 모습으로써
부처님의 성품을 확연하게 드러낼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고 억지로 특이하게 보일 것은 없겠으나,
요즘같이 교육도 똑같이 시키고
똑같은 것들만 똑같이 머릿속에 주입을 시키고
똑같은 옷에, 똑같은 먹을거리에, 똑같은 주거환경이며
똑같은 TV를 보고, 책을 읽으며, 삶의 학습을 받아오고,
돈, 명예, 권력, 학벌, 등 똑같은 삶의 욕망을 삶의 제일가치로 알고
똑같은 삶의 방식을 따르다 보니
저마다의 색깔이 없어지고
'자기자신'의 모습으로 나툰
자신만의 화신불을 드러내지 못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내가 가장 나답게 살 때
그것이 가장 진리답게 사는 것이고,
부처님의 성품을 드러내며 사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대자연도 그러하지만
애석하게도 요즘의 대자연은 인위적인 힘으로 인해
자기자신의 삶의 모습을 훼손당하고 있어 안타깝다.

가만히 생각해 보면
이 도량 주위에 돋아난 봄나물들만 캐어 먹어도
어지간한 채소는 농사지을 필요가 없을 것 같다.
지천으로 먹을 것이 널려있으니 말이다.

모를 때는 그냥 다 잡초라고 치부해 버리고 지나치지만
조금만 알고 나면 봄들녁의 새싹들은
그야말로 다 먹을거리가 된다는 것이 신비로울 정도다.
무슨 무슨 대형 마트에 가서 에어콘 바람 쐬가며 쇼핑도 하고
카트를 끌고다니며 채소를 고르는 것 보다
조금 덥더라도 차라리 산으로 들로 호미 하나 들고 뛰어들어
자기 자신의 무한한 생명력을 드러내는 것은 어떨지.

사실 올바른 농사란 그런 것이 아닐까.
사람의 노력을 들여
심고 물주고 뿌리고 가꾸고
나아가 농약주고 풀 뽑아주고 비료에 재초까지 해야 하는
고된 노동을 생각했을 때,
또 반환경적이고 반생태적인 현재의 농사법을 생각했을 때,

그저 대자연에서
제 스스로 씨앗 뿌리고 가꾸고 만들어 내는
그런 것들이야말로 가장 온전한 먹거리일 것이고,
그렇게 있는 그대로의 것을 필요한 만큼 가져다 먹는 것이야말로
가장 온전하고 깨어있는 농사고 농부의 일이 아닐까.

그랬을 때
인간의 노력과 욕심, 또 반환경적인 어리석음을 투여해서 일구어낸 먹거리 보다
더 생명력이 강할 것이고,
더 온전한 영양이 깃든 먹거리가 될 것이며
온전한 삶과 건강의 토대가 되어 줄 것이다.
그것이야 말로 법계에서 내려 준 선물이고,
부처님의 음식일 것이란 생각이 든다.

산은,
대자연은
가만히 두어도
날마다 비옥해 지지 않나.

물주고 가꾸고 비료주고
농약이며 재초재 비료 뿌려주고
갈아주고 잡초 뽑아주고 북주고
그러기 위해 온갖 것들을 돈들여 사야하고
노동력을 탕진해야 하며
많이 수확할 수 있을까 걱정하고...

뭐 그런 것 하나도 하지 않더라도
산은 항상 비옥하며
항상 그 자리에서 온전한 모습으로
숲을 가꾸고
모든 생명들을 품어내고 있다.

그것이
참된 법계의 모습이고, 진리의 모습인 것이다.

그렇게 온전한 모습을 하고 있으니
우리 사람들도 자연을 가까이 할수록
진리와 가까워지고
행복해지며
평화로움이 내면에 깃드는 것이다.
자연을 닮아가는 것이다.

자연을 닮아가는 것이
법신 부처님을 닮아가는 것.

봄 따스한 햇살에
앞다투어 하루가 다르게 피어나는 봄의 생명을 보며
내 안의 생명도 한없이 피어남을 느낀다.



반응형